원문서비스 | 소개 | 편집위원 및 운영위원 | 논문투고 안내 | 온라인 논문투고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학술지명 : 사회과학연구
ISSN : 1976 - 2984
발행간기 : 연 4회
발행일자 : 1호: 매년 1월 31일, 2호: 매년 4월 30일, 3호: 매년 7월 31일, 4호: 매년 10월 31일
Current Issue
Seon Ah Kang, Min Hee Kim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두 변인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만 18세~35세의 초기 성인기 397명을 대상으로...
Analysis of Impacts of OTT and SmartTV Usage on VOD Expeditures
Seonmi Lee
OTT 서비스 이용이 보편화되고 스마트TV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유료방송 서비스 이용행태 역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미디어 보완/대체 이론을 기반으로 OTT 서비스 이용과 스마트TV 이용이 유료방송 VOD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종속변인인 유료방송 VOD는 영화콘텐...
Self-labeling of Counselors and Feminist Therapy Behavior
Hyeon Jeong Kim, Yunjung Choi, Yeasook KimMin, Ju Eun Jung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신을 여성주의자 또는 여성주의상담자로 명명하는 상담자들이 상담 장면에서 더 많은 여성주의상담행동(Feminist Therapy* Behavior)을 하는지, 그리고 자기명명을 한 상담자와 그렇지 않은 상담자 간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TaeHeon Kim, Sungeun You, ChangHyun Ha
본 연구는 대학 축구 선수들의 집행 기능과 암묵 학습 능력이 선수들의 경기력을 얼마나 예측하고 설명하는지를 확인하고,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하는 복잡한 도구가 아닌 간편한 측정 도구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축구 선수 10명을 참가자로 모집하여 도안 유창...
Suji Kim, Jinhee Rhyoo, Kyoung Ok Seol
본 연구는 집중 모성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역할지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30~40대 기혼 여성 5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Il Gwang Yoon, Nan Mee Yang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에 따라 형성되는 자연적 군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사...
Subin Kwon, Sungi Kim, Seong-Jo Jeong, Hyunjae Cha, Sang-Gil Lee
이 연구는 인문사회 분야 IRB 심의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취약한 대상’ 연구 심의의 갈등 양상과 쟁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취약한 대상을 연구하는 인문사회과학 연구자 27명의 IRB 심의 경험을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취약한 대상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자...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Social Worker at Community Welfare Center
Jung Sook Choi, Heesoo Kim, Haewon Yang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소진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질문을 통해 소진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최근까지 근무했던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가 소진을 경험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