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서비스 | 소개 | 편집위원 및 운영위원 | 논문투고 안내 | 온라인 논문투고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학술지명 : 사회과학연구
ISSN : 1976 - 2984
발행간기 : 연 4회
발행일자 : 1호: 매년 1월 31일, 2호: 매년 4월 30일, 3호: 매년 7월 31일, 4호: 매년 10월 31일
Current Issue
Psychological Distance for Benign Humor
Hong Im Shin
유머는 사회적 갈등상황에서 긴장을 완화시키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성격의 강점이다. 그러나 지나친 유머는 오히려 상대방에 대한 공격으로 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량한 위반이론(benign violation theory)을 토대로 유머가 재미있게 지각되는 정도, 유머의 기대위반정도, ...
Hansol Kim, Gyuchan Kim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과 학교적응 간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차 웨이브 1차(2019) 자료로부터 외국인 어머니를 둔 다...
Seung-Jin Kwak, Younghee Noh
본 연구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해외 소재 근·현대 한국 관련 자료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내부 현황 분석을 통한 특징과 시사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해외 소재 근·현대사 한국관련 자료의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전을 ‘해외...
A Study on Symbolizing the Image of Instant Cup Noodles
Su-Ji Jeong, Byung Woo Sohn
본 연구는 2016년 구의역 참사와 2018년 태안화력 참사 이후 유품사진 속 컵라면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죽음과 깊은 연관성을 맺게 된 사회 현상에 주목하여, ‘컵라면’을 퍼스 기호학으로 조망해 이미지의 상징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 속 컵라면의 합의된 의미인 코멘스를...
Bumsub Jin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으로 취약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신체건강문제는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관리영역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체건강증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변인들(건강콘텐츠노출, 건강정보주목, 개인적·사회적 위험인식, 건강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
Hye-Jin Nam, Seok-Ho Hong
본 연구에서는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독거노인의 자살 생각과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독거노인 2,552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모형은 노년기 자살특성과 주요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주요 독립변수는 건강상태...
Areum Shin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시간 사용의 변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간 사용 변화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2020 서울서베이 시민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이후 혼자 있는 시간이 ...
Analysis of Daily Newspaper Coverage by Types of Mental Disorder:Comparison between 2012 and 2021
Mi-Kyung Seo, Jin-Hyang Lee, Min-Hwa Lee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있어 미디어가 낙인부여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정신장애 유형별 기사의 보도 형태 및 프레이밍을 확인하고, 10년간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현병’, ‘우울증’, ‘알코올중독’ 키워드로 검색한 465건...
Social Capital and Trust in Gover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Justice Perceptions
Donguk Kim, Sangwoo Hong, Sookjong Lee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회자본과 정부신뢰 간 관계에서 사회공정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이타적 사회자본이 사회의 발전과 건전성을 증진한다는 명제를 바탕으로 사회신뢰, 사회참여 그리고 지역소속감 변수를 활용했다. 종속변수인 정부신뢰는 행정부(중...
Eu-Ddum Park, Inyi Choi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을 “노동자”로 정의하고, 이들의 노동조건 및 노동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감정노동 관련 피해사례가 만들어지는 구조적 원인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1,42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20명을 대상으로 5차례 F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