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 Article ]
Journal of Social Science - Vol. 35, No. 2, pp.31-53
ISSN: 1976-298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02 Feb 2024 Revised 25 Mar 2024 Accepted 15 Apr 2024
DOI: https://doi.org/10.16881/jss.2024.04.35.2.31

인구감소 및 입학자원 감소위기 속의 대학도서관의 대응전략 및 발전방안*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Strategies for Response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Face of Population Decline and Decreasing Enrollment Resources
Younghee Noh
Konku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충청북도 충주시 충원대로 268 교수연구동(K3) 217호, E-mail : irs4u@kku.ac.kr

초록

대학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소속 대학의 현황은 물론이고 대학이 직면한 문제까지 총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현재 대학은 입학자원의 감소로 인한 급격한 재정감소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ST+L분석을 통해 대학과 대학도서관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법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도서관은 미래 교육ㆍ연구 혁신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과 문제해결형 학습지원, 창업생태계 구축 및 청년 일자리 창출 공간 제공,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 증진을 위해 디지털 교수학습 지원, 디지털 스칼러십, 디지털 역량개발, 디지털 인프라(연구지원 시스템 등), 디지털 경험 등 제공,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은 물론이고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등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역할을 상당히 확장시켜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When 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t's essential to thoroughly analyze not only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 but also the challenges it faces. Universities are currently grappling with a sharp decline in financial resources due to a decrease in admissions. Therefore, in this study, a PEST+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technological, and legal environments surrounding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adapt by providing services that respond to future educational and research innovations, fostering creative interdisciplinary talent, supporting problem-solving learning, establishing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youth, enhancing soft skills that technology cannot replace, supporting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fostering digital literacy and skills development, providing digital infrastructure (such as research support systems), and offering digital experiences. Additionally, there is emphasis on nurturing local talent, contributing to regional development ecosystems, collabo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and industries, and providing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It is evident that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significantly expand their existing roles to meet these demands.

Keywords:

Population Decline, Decreasing Enrollment Resources, Response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Library

키워드:

인구감소, 입학자원 감소위기, 대학도서관의 대응전략, 발전방안

1. 서 론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2012년 1.30에서 2022년 0.78로 10년만에 60% 정도 떨어질 정도이며,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 하위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영국 인구학 권위자는 심각한 저출산율로 2750년에는 한국이 소멸한 수도 있다고 예견했다. 최근 10년만에 매년 10만명씩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면 10만명 규모의 도시 하나가 매년 사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이 직면한 위기는 학생 수의 감소, 입학자원 감소로 인한 재정수입의 지속가능성 문제, 학과 폐지는 물론 대학의 폐교 위기이며, 피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대학도서관은 대학 커뮤니티의 중요한 일부로서, 재정적 위기로 인한 대학의 폐교나 축소는 소속 대학도서관에도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즉, 예산 삭감, 인력감축, 자료구입 제한, 기존 구독자원 및 컬렉션 유지 어려움, 서비스 축소 또는 폐지, 서비스의 품질 및 수준 저하, 공간 및 시설 관리의 어려움 등이며, 이는 최종적으로 연구지원과 학술 커뮤니티의 연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적 및 물적 자원이 급속도로 축소되어 가는 가운데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생, 교수, 연구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서관을 지식과 정보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즉 대학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접근, 기술 통합, 사용자 중심 서비스, 그리고 지역사회 및 학계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한 것은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며, 재원 확보 방안으로 공공프로젝트 참여, 기부금 및 기금 모금, 산업계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기업후원, 장소 대여 및 대학도서관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는 이벤트 개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학도서관은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은 구체적인 발전방향 및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대학도서관은 대학도서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포함하여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법적 환경에 대해서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대학도서관의 대내외 환경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로부터 대학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흥 기술이 대학 및 대학도서관 운영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영향, 인구 구조 변화, 경제적 상황, 고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기대의 변화를 포함하는 사회경제적 변화, 교육 및 도서관 관련 정책, 규제 변화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 선행연구

환경분석을 기반으로 한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을 수립한 연구를 포함하여 환경 및 기술의 변화를 반영한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모색하는 연구는 역사적으로 기술 및 사회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도 같은 맥락에서 수행되는 연구 중의 하나이지만 본 연구는 20년 후 44%의 대학만이 남는다는 예측이 있는 가운데(연합뉴스, 2021), 소속 기관인 대학도서관은 어떤 역할과 기능 강화를 해야만이 대학의 생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 속에서 환경분석에 대한 조망이 이루어진 연구이다. 인구소멸과 대학폐교의 대 흐름 속에서 대학도서관이 무슨 힘이 되겠는지에 대한 의문도 있지만, 지금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하거나 사라진다는 위기 속에서 대학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도 무궁무진하다 판단된다.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수행된 연구로 이제환(2002)은 역동적으로 변하고 있는 정보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심장으로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경영철학과 전략이 필요한지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응봉(2014)은 급속한 정보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대학의 구조 조정과 반값 등록금 등 대학의 제반 어려운 사정이 직ㆍ간접적으로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미쳐, 대학의 교육ㆍ연구의 핵심 인프라인 대학도서관이 큰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하며,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곽동철, 윤정옥, 김기태(2006)는 1990년대 이후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 등 영어권 주요국가의 대학도서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고등교육의 환경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각기 상이한 국가제도와 문화적 전통, 고등교육체제 및 정보환경 하에 있기 때문에 생겨나는 고유한 문제점들보다는 여러 나라의 대학도서관 전반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문제점들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했다.

가장 최근에 수행된 연구로 최예진, 김초해, 이지연(2023)은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국제 환경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협업’, ‘컬렉션 개발 및 구축’, ‘연구지원’이라는 키워드를 주축으로 다양한 전략과 세부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위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이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을 분석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수행된 연구이다.

위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해외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을 살펴보거나 대학도서관이 인식하고 있는 고등교육 환경변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선방안 도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소속되어 있는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도출했다는 측면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본다. 또한 PEST+L분석을 통해서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법적 이슈를 비교적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대학도서관의 지향점을 도출했다는 측면에서도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3.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대학도서관의 대내와 환경 분석을 위해 PEST+L 분석을 실시하였다. PEST+L 분석은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사회적(Social), 기술적(Technological) 요인뿐만 아니라 법적(Legal) 요인까지 고려하는 포괄적인 환경 분석 도구이다. 각각의 요인도출을 위해서 분석된 정책 및 문헌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림 1>

외부 환경분석 Framework


4. PEST+L 기반 환경분석 결과

1) 정책환경 요소

정책환경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을 둘러 싼 국가 정책환경과 도서관 정책환경을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국가 정책환경 분석을 위해서는 국정과제의 교육정책, 중점 과제 기반 대학 관련 정책, 문화 기반 정책을 조사 분석했다. 도서관 관련 정책으로는 도서관 관련 국정과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대학도서관 발전종합계획 등을 조사 분석했다.

(1) 국정과제의 교육정책

국정과제 교육정책으로 新 정부의 교육정책인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라는 목표 아래 공교육의 기능 확대와 대학 교육 혁신 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22). 이러한 정책의 핵심 내용은 첫째, 창의적 교육기반 미래인재 육성과제의 핵심 키워는 신산업ㆍ신기술 분야 핵심 인재 양성과, SWㆍAI 및 디지털 교육 기반 조성이다. 둘째, 모두를 인재로 양성하는 학습혁명 과제의 핵심키워드는 미래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과, 학생 개개인을 위한 국가 책임의 학습지원과 진로ㆍ경력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셋째, 더 큰 대학자율로 역동적 혁신 허브 구축과제의 핵심키워드는 4차 산업 혁명에 대응한 대학의 자율적인 혁신과 유연한 제도 운영 지원과 창업 교육 강화 및 대학 내 창업생태계 구축이다. 넷째, 국가교육 책임제 강화로 교육격차 해소의 핵심 키워드는 교육과 돌봄의 국가 책임 강화, 소외 계층 없는 맞춤형 교육, 전 국민 평생학습 지원이다. 다섯째,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의 핵심 키워드는 지역과 대학 간 연계ㆍ협력,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 평생ㆍ직업교육 강화이다. 여섯째,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혁신의 핵심 키워드는 교육 자유 특구를 통한 학교에 대한 규제개선 및 대안학교 운영 활성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대학 및 산업 등에 대한 자기 책임성을 강화, 그리고 ‘지역인재 양성-취업ㆍ창업-정주’의 지역인재 양성체계 구축 등이다.

이러한 과제의 핵심의미는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라는 목표 아래 공교육의 기능 확대와 대학 교육 혁신 등의 과제로서,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의미는, 첫째, 자율과 창의 중심의 인재 양성을 돕는 대학도서관 구축, 창업 교육 강화 및 대학도서관 내 창업생태계 구축 지원, 소외 계층 없는 맞춤형 교육 지원으로 도출해 볼 수 있다.

(2) 국정과제 중 대학 관련 정책과 대학의 변화

대학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점 과제 기반 대학 관련 정책으로 살펴본 정책은 총 10개이며, 사회변화에 대응 목적의 “대학혁신지원사업”(교육부, 2021b), 대학의 자율적 체질 개선 등을 위한 “고등교육 재정지원 계획”(교육부, 2019), 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교육부, 2017), 고등교육 정책의 변화, 글로컬 대학 30교 육성을 위한 혁신 추진(교육부, 2023a), 대학 진로 교육 활성화, 대학 평생 교육체제 구축 지원 확대(교육부, 2023b), 글로벌 혁신 허브를 위한 “지역산업 진흥 계획”(산업통상자원부, 2023),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교육부, 2023c), 인문학 위기 대책을 위한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교육부, 2021a) 등이다. 이러한 대학 관련 정책이 대학도서관에 시사하는 의미 및 대학도서관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국정과제 중 대학 관련 정책과 대학의 변화 종합분석결과

(3) 문화기반 정책

문화기반 관련 정책도 문화기반 시설이 되는 도서관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문화기반 관련 정책으로는 문화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한 “출판문화산업 진흥 계획”(문화체육관광부, 2017), 독서생태계 조성을 위한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08), 대한민국 문화도시 추진 계획(문화체육관광부, 2022) 정책을 조사 분석했다.

먼저, 출판문화산업 진흥 계획의 의미는 대형ㆍ온라인 서점 중심의 유통 강화, 전자책 시장 성장, 구독 서비스 등장, 독립출판 활성화 등 구조적 변화요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ㆍ대응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이 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출판문화산업과 연계 협력, 비대면 여가 활동인 ‘독서’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 트랜스미디어 시대 대응 이용자 성향 파악과 대응전략 수립 등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의미는 독서가 개인과 공동체의 위기 해결과 사람과 사회의 변화를 가져와 혁신적 포용국가 달성에 기여하도록 체계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 정책의 방향성은 ① 자율성 보장을 위하여 독서권, 참여형 독서, ② 다양성 실현을 위하여 사회적 독서, 지역독서생태계, 다문화 독서 기반 구축, ③ 창의성 확산을 위하여 미래 독서생태계, 사람 중심적 변화, 공감ㆍ소통 능력 등 독서 가치 확산 등 추진이다. 이 정책들이 도서관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첫째, 쌍방향 독서로 전환(과다 정보 시대에 수요자 참여 맞춤형 독서, 글쓰기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 수립, 둘째, 개인적(정서적ㆍ지식습득)으로 읽는 독서를 사회적 독서(함께 읽고 쓰고 토론하고 나누는/사회공헌) 중심으로 전환 대응 전략 수립, 셋째, 혁신 능력 배양 및 구현을 위하여 미래 독서생태계 조성추진 및 사람과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독서 정책 비전과의 연계성, 넷째, 문화기술(CT)ㆍ스마트 환경을 위기 요인에서 기회요인으로 활용지원 등이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문화도시 추진계획이 갖는 의미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권역별 문화도시를 집중육성하고, 旣 지정 문화도시 및 인근 도시와의 연계ㆍ네트워킹 강화로 문화균형발전 선도로 볼 수 있으며, 도서관에 시사하는 의미는 지역 연계 및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 지원과, 문화도시 거점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로 볼 수 있다.

(4) 도서관 관련 정책

도서관과 관련된 정책은 크게 도서관 관련 국정과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그리고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을 살펴보았다. 먼저, 도서관 관련 국정과제로는 국정과제 56번인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과 도서관 정책과의 관련성-국민 문화기본권 보장 및 삶의 질 향상, 지역 문화 격차 해소로 볼 수 있으며, 이 정책이 도서관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장애인 및 취약계층 등을 위한 도서관 혁신(문화기본권 보장 및 문화 격차 해소), 길 위의 인문학 등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 운영, 지역 중심 문화 거버넌스 확립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의 핵심내용은 선진 일류국가 선도에서 국민과 동행하는 도서관으로 패러다임 변화(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로, 대학도서관에 시사하는 내용은 교수, 학생 등을 위한 1:1 맞춤형 밀착 서비스 확대, 공동체를 위한 공유 공간, 연구, 교수학습을 위한 지적 정보의 확대, 지역 내 공공, 대학도서관 등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 조성 등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이러한 정책들이 추구하는 바는 대학의 기본 기능 지원과, 대학도서관 중심의 과제에서 이용자 중심의 과제로 조정하여 학습과 연구환경 조성이다. 이러한 정책이 대학도서관에 시사하는 의미는, 정책환경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대학도서관 발전전략 마련, 대학 경쟁력은 도서관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기조로 발전계획 수립, 이용자 중심으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 및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의 ‘심장’ 역할 등으로 파악된다.

(5) 정책적 이슈의 종합 분석 결과

위의 정책적 환경 분석으로부터 대학도서관의 역할 변화에 시사하는 의미는 매우 광범위하고, 지금까지 대학도서관이 수행하지 않았던 역할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대학도서관의 창업지원 공간 제공 및 창업지원 역할의 강화이다. 창업 교육 강화 및 대학도서관 내 창업 생태계 구축, 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청년 일자리 창출 공간 구축(메이커스페이스) 및 역할 강화 등은 창업과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에 새롭게 요구되는 역할로 볼 수 있다.

둘째, 대학도서관의 교육기능에의 기여도 강화와 관련된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이다. 학사 운영의 융합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 및 지원, 미래 교육ㆍ연구 혁신에 대응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발 촉진,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내용ㆍ방법론 관련 정보지원,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내용ㆍ방법론 관련 정보지원 등은 지금까지의 역할보다 훨씬 강화된 교육기능의 역할강화라 볼 수 있다.

셋째, 대학이 외부기관과 연계하여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더욱 더 강화하고 확대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 내외부의 벽 허물기 공간으로서의 역학을 기반으로 진로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및 관련 자료 수집 및 제공, 대학생,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관련 자료 수집 제공,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 그리고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과 대학 현장실습 내실화를 위한 문제해결형 학습 프로젝트인 캡스톤디자인 교과 과정 발굴과 운영 지원 등이다.

2) 경제환경 요소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경제적 환경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국제적 경제환경, 정부의 재원 배분 현황, 대학의 경제환경 영향, 도서관 재정 지원, 대학도서관의 경제 환경 운영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정책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1) 국제적 환경

먼저, 국제적 경제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산업 전망과 디지털 중심 산업의 경제적 가치와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근원물가 상승세 지속 등으로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산업 전망을 보았을 때, 세계 경제성장률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매우 낮게 전망되나, ICT 및 디지털 중심 산업은 긍정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이 대학도서관에 갖는 의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ICT 및 디지털 기반 인프라 확충과 지원의 강화라 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의미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지속과,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 압력의 증대라 볼 수 있으며, 대학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따른 장서, 자료 구입비, 인건비 등 전반적인 예산 압박으로 볼 수 있다.

(2) 정보위 재원배분 현황

정부의 재원 배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23년 정부 분야별 재원 배분,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ㆍ조정, 교육부의 2023년도 예산안 101.8조 원 편성 등의 내용을 조사분석했다.

먼저, 정부 분야별 재원 배분의 내용을 보면, 도서관 관련 문화/체육/관광 예산은 전년 대비 -6.5% 감액되었고, 따라서, 도서관은 도서관 관련 문화 분야 예산 감축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을 요청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을 보면, 주요 정책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 강화’, ‘국민 체감성과 창출 촉진’ 및 ‘선택과 집중을 통한 투자 효율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초격차 국가 전략기술, 미래 도전적 과학기술, 과학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도서관 지원 전략 수립을 하고, R&D 투자 효율화를 위한 지원을 하며,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에 대한 지원 전략 수립을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경제환경 변화 및 위기와 관련한 내용을 보면, 첫째, 등록금 동결, 입학금 폐지로 대학 재정감소에 대한 교육부의 지원이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등록금 의존율이 높은 상황, 둘째, 학령인구 감소 및 진학률 하락에 따른 대학 입학자원 부족 문제, 셋째, 등록금 수입에 의존하는 대학의 재정 상황 악화 등이다. 따라서 대학의 재정 상황 악화가 대학도서관 재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3) 도서관 재정지원

도서관의 재전지원 배분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 예산과 축소 현황을 조사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의 경우 2023년도 예산이 985억 원으로 확정하고, 소실 위기에 있는 민간 고문헌을 구입하고, 이를 통한 국가 기록 문화유산의 수집ㆍ보존ㆍ활용 및 후대전승을 강화하고자 고문헌 구입예산을 대폭 증액한 것을 볼 수 있다. 도서관에 시사하는 바는 적절한 자료ㆍ시설 확충으로 이용자 만족도 상승효과 기대, 지식정보 취약계층지원을 위한 정책 반영 등으로 볼 수 있다.

(4) 대학도서관의 경제환경 운영

대학도서관의 경제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도서 자료 도입 및 이용 변화와 2020 년대학도서관 10년 추이 기반 대학도서관 예산 이슈를 조사분석했다. 첫째, 도서 자료 도입 및 이용 변화는 전자자료 구입비 비율이 소폭이나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따라서, 대규모 상업자본의 독과점에 의한 전자저널, 웹DB 가격의 급격한 인상에 대응한 근본적인 해결책 강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2020 대학도서관 10년 추이 기반 대학도서관 예산 이슈는 매년 상승하는 전자자료 구독비 확보, 도서 자료 구입비 감소, 평가 기준에 따른 최소 기준 적용, 도서관 예산의 다각화를 꾀하는 대학 본부, 코로나 방역 비용 증가, 자료 구입비 외 도서관 예산 확보(신규 서비스 개발, 무인화 장비 도입 등)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이 대학도서관에 갖는 의미는 장서 자료 구입비 감액 및 전자자료 구독비 증가, 도서관 예산 다각화 요구, 자료 구입비 외 서비스 개발 및 무인화 장비 등 기기 구입 비용 증가라 볼 수 있다.

(5) 경제적 이슈의 종합 분석 결과

위의 경제적 환경이슈 분석으로부터 대학의 재정위기로 인한 대학도서관의 대처 전략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대학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한 대학도서관 재정 상황에 대한 영향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따른 장서, 자료 구입비, 인건비 등 전반적인 예산 확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제적인 경제적 이슈 해결 방안으로 대규모 상업자본의 독과점에 의한 전자저널, 웹DB 가격의 급격한 인상에 대응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하고, 자료 구입비 외 서비스 개발 및 무인화 장비 등 기기 구입 비용 증액방안을 고민하며, R&D 투자 효율화를 위한 지원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경제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3) 사회환경 요소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사회 환경으로 인구 환경 변화, 정보화 수준의 향상과 정보화 수준 불평등 현상, 대학-지역(지자체) 협력, 교육 및 사회 트렌드 변화, 사회적 가치 창출 요구 등을 분석했으며, 도서관 환경 요소로 사서 핵심 업무 변화, 팬데믹 이후 도서관 환경 변화, 도서관 중심의 “지역문화진흥계획”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 인구 환경 변화

인구 환경 변화에서는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대학 입학자원 감소와 대학의 위기, 중장기 인력 수급 격차 심화 및 대학 전공계열의 인력 수급 불균형, 사회적 갈등 요소의 증가 및 한국 사회 종합 갈등 지수 급등, 고령 가구 및 1인 가구 증가 이슈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이러한 변화의 내용을 보면,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에 따라 대입 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를 초과하는 역전 현상이 예상되며, 입학자원 확보를 위한 대학의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 저출산ㆍ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로 인력 수급의 불균형, 2018년 이후 한국 사회 종합 갈등 지수 급등,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50년 1,137만 5천 가구로 2.5배 증가, 2050년에는 1인 가구(39.6%), 2인 가구(36.2%)로 증가 전망 등의 내용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이슈가 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첫째, 학령인구 감소, 대학에서 충원율 감소에 따른 도서관의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전공계열에서 초과 수요, 특히 공학 계열에서 초과 수요에 대응한 도서관만의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젠더, 정치 성향 등 다양한 갈등 지수를 낮추기 위한 도서관 운영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넷째, 고령화, 1인 가구 대비 도서관 운영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2) 정보화 수준의 향상과 정보화 수준 불평등 현상

정보화 수준의 향상과 정보화 수준 불평등 현상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웹사이트 접근성, 디지털 성장에 따른 “정보격차해소” 정책, 개인 디지털 역량 수준 고도화 기반 사회ㆍ경제 활동에 참여, 지능 정보기술을 이용한 사회 현안 해결 가능성 증대,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등에 대해 조사 분석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사업이 의미하는 이슈와 이러한 이슈가 대학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다음 <표 4>와 같다.

정보화 수준과 대학도서관과의 관련성

(3) 대학-지역(지자체) 협력

대학-지역(지자체) 협력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육부 지역 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과 대학의 역할변화 요구(교육부, 2023e),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을 살펴보았다. 위 사업들의 내용이 시사하는 의미는 지역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자체의 대학지원 권한 확대, 대폭적인 규제 완화,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재정 투자 추진, 그리고 교육부가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 인재의 수도권 유출 등의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지자체와 지역대학의 협력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지원하고, 지자체와 대학도서관 간 협력 체제 마련과 지역산업체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발과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4) 교육 및 사회 트렌드 변화

교육 및 사회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지식기반 경제사회에 요구되는 인재상 변화, 평생교육 트렌드 변화, 사회ㆍ인구구조, 기술환경, 경제ㆍ산업구조 및 문화ㆍ삶의 영역 변화 등을 조사분석했다.

이러한 트랜드가 사회에 요구하는 바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대학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필요, 급격한 사회변화와 아울러 교육부의 대학 평생교육 지원 정책으로 말미암아 평생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전망이라는 것이며 또한, 국내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중이며 사회ㆍ인구구조, 기술환경, 경제ㆍ산업구조 및 문화ㆍ삶의 4가지 영역이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슈가 대학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지식기반 사회 인재상 마련을 위한 교육 혁신 프로그램, 최신 인재상에 맞는 인재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연구지원,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성인 학습자에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개발, 사회 트렌드에 맞는 도서관 운영 체계 수립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5) 사회적 가치 창출 요구

최근 문화시설 등 비영리기관에서도 ESG 경영 등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 및 활동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중기 경영 목표(2019-2023)의 목표 중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구체적인 정책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IFLA는 UN 회원국을 포함한 많은 이해관계자와 논의하여 ‘UN 2030 의제’ 최종안에 합의하고, ESG의 핵심 요소 중 환경과 사회적 이슈를 대변하는 친환경과 DEL(DiversityㆍEquityㆍInclusion)은 사회안전망 및 문화기반시설로서 도서관이 추구하는 사회문화적 가치와 일치하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7대 전략 목표 중의 하나로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 창출 경영체제 확립이라는 목표를 포함했으며, 도서관계도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SDGs 및 ESG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구체화해야 함을 강조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도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대학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안을 제시해야 하며, ESG 경영 실천 방안을 도입하고, SDGs 실현을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6) 도서관의 사회환경

도서관의 사회환경을 분석을 위해서는 4차산업혁명에 따른 사서 역할변화 및 대학도서관 업무 변화에 기반한 사서 핵심 업무 변화, 팬데믹 이후 도서관 환경 변화로 인한 도서관의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중요성 증대 및 비접촉 문화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도서관 중심의 “지역문화진흥계획”에서는 생활문화 동호회ㆍ공동체 지원(문화체육관광부, 2020), 사회적 약자를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정책기능 강화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정책 및 이슈가 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다음 <표 5>와 같이 정리 될 수 있다.

정보화 수준과 대학도서관과의 관련성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7) 사회적 이슈의 종합 분석 결과

위의 사회적 환경이슈 분석으로부터 학령인구 감소 및 대학의 충원율 감소에 따른 도서관의 대응 전략 수립 필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서비스 개발과 지원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 운영, 즉, 디지털 역량 수준 고도화 정책 및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강조되고 있다. AI를 활용한 머신러닝, 정밀 진단 등은 신체적 장애 극복, 고령화 시대 노인 돌봄 및 국민 안전 강화 등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평생교육 기능도 더욱더 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성인 학습자에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개발 및 지원을 포함하여 인공지능과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스토리텔링(Data Storytelling) 등을 포함한 사서 대상 교육과정 운영도 평생교육 기능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의 일환으로 장애 유형 및 생애주기에 따른 대학도서관 정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디지털 기술의 포용적 활용 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 기술환경 요소

기술적 환경 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 기술,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대학의 기술환경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전환, 기술을 접목한 미래 교육 전환, 대학도서관 기술환경 전략, 그리고 도서관의 신기술 도입 전략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1)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 기술 전략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 기술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 증폭에 따른 빅데이터 활용성 증대현상, 4차산업혁명 시대의 본격화로 ‘뉴노멀’ 시대 가속화, 융복합 기술의 확산, 8대 신기술 및 첨단 산업 발전, 미래 신산업 전망에 따른 인력 수요 변화, 디지털 전환 시대로의 변화, 무인 시스템 활성화 등의 현상 및 정책을 조사 분석했다. 사업을 분석해 보았을 때 도출되는 이슈는 첫째, 인터넷의 보편화와 모바일 환경 확산에 따른 데이터 폭증과 사회 전반에 걸친 빅데이터 활용성의 증대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서관은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대와 빅데이터 활용 교육과정 운영(사서 및 이용자 대상)이 요구된다.

둘째, ‘언택트 사회’로의 변화로 기존 사회에서 일상적이지 않은 것들이 일상화되는 ‘뉴노멀’ 시대 가속화와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의 중요성 확대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서관은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증진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신기술 및 산업과 사회적 변화를 빠르게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학제 개편과 타 분야의 지식ㆍ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도입 및 교육 방법 혁신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대학도서관 전체 직원 대상 지식ㆍ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 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및 4차산업혁명 시대 본격화 등에 따라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재편 및 일자리 형태가 변화하면서 정부는 8대 신기술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한 첨단산업을 활성화한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8대 신기술 수요형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과 장서 서비스의 변화를 모색하고 신기술 분야 관련 각종 정보자원의 선제적 확보와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신산업 인력양성 확대와 원활한 인력 수급 대응 이슈에 대해 도서관은 미래 유망 신산업인 차세대 반도체 등 산업 기술 인력양성에 필요한 정보와 정보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여섯째, 디지털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활용하며, 가상과 현실을 유기적으로 묶어내고, 무인ㆍ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이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 중에 있는 것에 도서관은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

(2)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이와 관련된 정책으로 디지털 신기술 인재 양성 공유대학사업은 여러 대학 간 공유ㆍ협력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학에서도 수도권 대학 및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신기술 분야 정보자원 확대 및 디지털 공유대학 운영에 특화된 정보자원 및 정보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첨단산업 분야 인재양성은 미래 성장동력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전공 및 학제 구분을 허무는 교육과정 및 학사구조 개편, 산학연계 학사 운영의 재구조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대학도서관은 이와 관련하여 인공지능(AI), 차세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3) 대학의 기술환경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전환

이와 관련하여 기술 기반 교육 혁신, 기술 기반 교수학습, 신산업분야 교원 운영 패러다임 전환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첫째, 디지털 전환에 따른 통섭형 인재를 위한 융복합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개인 맞춤형 학생성장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온ㆍ오프라인교육,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교육 공간의 구축과 활용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공동체로서의 대학도서관 역할 및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 둘째, 하이브리드 및 온라인 학습, 역량 기반 학습, 원격 학습에 대한 능동적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대학의 물리적 교육환경도 지원해야 한다. 셋째, 교육 혁신 및 교원 운영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대학 교원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원해야 한다.

기술을 접목한 미래 교육 전환과 관련하여 Edu+Tech를 결합한 에듀테크 산업 시장의 성장과 대학 교육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환경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정영미, 이은주, 장덕현, 2019).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은 빅데이터와 AI, 가상현실(VR)ㆍ증강현실(AR)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로 실감화, 연결화, 지능화, 융합화되는 교육을 지원하고,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 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 및 플립러닝 교육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 기술환경 전략 및 신기술 도입 전략으로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공유ㆍ활용 전략 수립,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도서관의 공간 역할 변화, 창의, 소통, 협력, 융합 등의 교수학습을 위해 서비스 변화 지원,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5G 기술 도입의 확대, 포스트 코로나 대비로서 스마트도서관 확대, 메타버스 플랫폼 적용을 통한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도서관의 디지털라운지 조성 및 운영 지원 사업을 포함하여 각종 수업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은 첫째, 연구데이터라는 새로운 유형의 학술 자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역할과 서비스의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환경 제공, 대학도서관 내 창의ㆍ협업하는 학습활동 공간 및 ‘정보 접근’을 지원하는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공간 제공 등 공간과 관련된 부분의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 셋째, 미래 필수 역량인 창의, 소통, 협력, 융합 등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의 도서관 방문 목적 및 요구 또한 점점 다양화되고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적극적인 대처를 해야 한다. 셋째,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AR/VR, 자율사물, 에너지 효율화, 블록체인 5G 기술을 도입한 서비스 제공 및 스마트도서관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넷째, 메타버스 내 가상도서관 운영과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프로그램 운영’,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들에게 단순 체험 및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이해, 코딩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의 디지털라운지 조성 및 운영, 디지털라운지 연계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디지털 서비스 체험 공간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제공으로 정보격차 완화에 기여해야 한다.

(4) 기술적 이슈의 종합 분석 결과

위의 기술적 환경이슈 분석으로부터 대학도서관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포함한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첫째,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AR/VR, 자율사물, 에너지 효율화, 블록체인 5G 기술을 도입한 서비스 제공이다.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대 및 빅데이터 활용 교육과정 운영(사서 및 이용자 대상), 인공지능(AI)과 차세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정보제공이다.

둘째,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 증진 프로그램 운영이다.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도 여기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셋째, 디지털 교수학습 지원, 디지털 스칼러십, 디지털 역량개발, 디지털 인프라(연구지원 시스템 등), 디지털 경험 제공, 디지털 서비스 체험 공간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제공으로 정보격차 완화 등이 요구된다.

넷째, 디지털 데이터의 연결 지원, 가상현실지원 지식과 기술 확보 전략 수립 서비스를 포함하여 무인ㆍ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 서비스 확대 등이다.

다섯째, 학습환경 지원의 개선이다. 온라인 학습 지원 전략 수립 및 제공과, 하이브리드 및 온라인 학습, 역량 기반 학습, 원격 학습에 대한 능동적 지원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이용자들에게 단순 체험 및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이해, 코딩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 빅데이터와 AI, 가상현실(VR)ㆍ증강현실(AR)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로 실감화, 연결화, 지능화, 융합화되는 교육 지원, 디지털 서비스 체험 공간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제공으로 정보격차 완화 등이 폭넓게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연구데이터라는 새로운 유형의 학술 자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역할과 서비스 범위의 확장이다.

5) 법적환경 요소

법적 환경 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정책, 사회, 기술변화 이슈에 따른 법률 개정, 과감한 규제혁신ㆍ권한이양 및 대학 구조개혁,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 대학도서관진흥법 및 대학도서관시행령 등에 대해서 분석했다.

(1) 전체 법적 환경

먼저,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산업통상자원부, 2022)은 산업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법으로 주요내용은 ① 산업 데이터 활용ㆍ보호 원칙, ② 선도사업 지원 등 정부 종합지원 근거, ③ 부처간 협업 추진체계이다. 이 법이 대학도서관에 시사하는 바는 대학도서관이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기반한 데이터 활용 기반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분석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고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기반한 딥러닝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라는 메시지이다.

또한, 고등교육법 시행령의 개정은 新정부 규제혁신 추진 방향에 따른 교육부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으로서 신정부 규제혁신에 맞춘 대학도서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또한 대학도서관 규정도 이에 맞추어 개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2) 도서관법적 환경

도서관과 관련된 법은 크게 도서관법, 대학도서관집흥법, 저작권법 등이 있으며, 대학도서관은 도서관법 및 시행령 개정에 따른 각 도서관의 규정 개정과 대학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 개정에 따른 각 대학도서관의 규정 개정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저작권법은 도서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법으로서 디지털 장서의 확대를 위한 저작권법, 저작권법상 오픈액세스 규정 마련, 강의와 강사의 저작권 문제해결, 장애인 서비스 강화를 위한 측면의 저작권법 개정, 전자자료 이용률 제고를 위한 저작권법 개정, 도서관 디지털 서비스 강화를 위한 저작권법의 개정 등의 측면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기술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3) 법적 이슈의 종합 분석 결과

위의 법적 환경이슈 분석으로부터 대학도서관의 규정은 시대의 흐름 뿐만 아니라 상위법의 개정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도서관법 및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각 대학도서관의 규정 개정과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모든 대학도서관이 「대학설립ㆍ운영 규정」에 따른 대학 교육ㆍ연구 활동을 위한 교육기본시설이나, 직원 배치ㆍ시설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야 하며, 신정부 규제혁신에 맞춘 대학도서관 서비스 체계 및 대학도서관 규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사서 및 장서 확충 등의 측면에서 교육ㆍ연구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최소한의 여건을 갖추도록 명기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 장서, 오픈액세스, 온라인 개방형 학습플랫폼, 시각 및 독서장애인의 출판 저작물, 전자책 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문제의 합리적 조정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PEST+L 분석을 기반으로 대학도서관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법적 환경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각각의 측면에서 대학도서관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대학도서관의 교육측면, 연구 측면, 서비스 및 프로그램 측면, 인프라 측면, 그리고 지역 연계 측면으로 구분해서 그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첫째, 교육 측면에서 볼 때 대학도서관은 대학 평생교육 체재 지원, 진로교육지원, 학사의 융합화 지원,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 지원,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프로젝트 및 교과 운영 지원,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술과 융합한 교육 혁신 운영 지원, 플립러닝 교육환경 서비스를 해야 한다.

둘째, 연구측면에서 대학도서관은 연구혁신 지원, R&D 투자 효율화를 위한 지원, 산학협력 관련 정보원 구축 및 정보공유 및 협력체계 구축 지원, 연구 및 교수학습을 위한 지적 정보의 확대, 이용자 중심으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확대,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의 ‘심장’ 역할, 조사연구 기능 강화 및 디지털 데이터의 연결 지원, 그리고 연구데이터라는 새로운 유형의 학술 자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역할과 서비스의 범위 확장 등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서비스 및 프로그램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은 산학연협력 및 취ㆍ창업 혁신 지원, 교육 및 연구지원 서비스, 독서 및 문화역량지원, 장애인 및 취약계층 지원, 디지털 역량 강화지원, 그리고 각종 도서관 활성화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인프라 측면은 크게 정보자원, 예산, 공간, 법적 측면으로 세분화해서 보았다. 먼저, 정보자원의 경우 각종 지식자원을 수집하여 디지털화하고, 대학에서 생산한 각종 지식자원을 수집해서 아카이브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산측면에서, 대학 자율 혁신에 따른 도서관 예산 확보, 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따른 장서, 자료 구입비, 인건비 등 전반적인 예산 확충, 도서관 관련 문화 분야 예산 감축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 대학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한 대학도서관 재정 상황에 대한 영향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 대규모 상업자본의 독과점에 의한 전자저널, 웹DB 가격의 급격한 인상에 대응한 근본적인 해결책 강구 등을 포함한 도서관 예산 다각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시스템 측면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AR/VR, 자율사물, 에너지 효율화, 블록체인 5G 기술을 도입한 서비스 제공, 코로나19 이후 비대면ㆍ디지털 사회 대비 지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ICT 및 디지털 기반 인프라 확충과 지원, 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 그리고 디지털 기술 포용적 활용 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지역 연계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은 미래사회 및 산업수요에 대응하는 지역혁신 대학도서관 정책, 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 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산학연협력 기반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지원, 지역 연계 및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 지원, 문화도시 거점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 지역 내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 등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 조성,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서비스 개발과 지원 등으로 대학도서관의 역할 확장을 이루어야 한다.

대학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소속 대학의 현황은 물론이고 대학이 직면한 문제까지 총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현재 대학은 입학자원의 감소로 인한 급격한 재정감소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운명과 같이 한다. 따라서 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학은 지금 입학경쟁률 향상과 취업경쟁력 향상, 그리고 자립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렇다면 산하 대학도서관은 어떤 부분에 중점으 두어야 할 것이며, 비전과 핵심가치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도서관은 미래 교육ㆍ연구 혁신에 대응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과 문제해결형 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셋째, 창업생태계 구축 및 청년 일자리 창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 증진을 위해 디지털 교수학습 지원, 디지털 스칼러십, 디지털 역량개발,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경험 등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은 물론이고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여섯째, 포용적 디지털 이용환경 조성과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일곱째, 평생교육기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성인 학습자에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빅데이터와 AI, 가상현실(VR)ㆍ증강현실(AR)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로 실감화, 연결화, 지능화, 융합화되는 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제3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24~2028)수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음.

References

  • 곽동철ㆍ윤정옥ㆍ김기태 (2006) 대학도서관의 환경변화와 문제점의 분석: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37(1), 3-28.
  • 교육부 (2017).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19). <대학혁신 지원 방안>.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1a). <제2차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1b). <2022년 고등교육 재정 지원 계획(안)>.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3a). <글로컬대학30 추진방안(시안)>.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3b). <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3c).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간한 법률 시행령>. 세종: 교육부.
  • 교육부 (2023d). <2025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도입 본격 시동>. 세종: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411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세종: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2017). <출판문화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17~2021)>.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2020). <포용과 혁신의 지역문화: 제2차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2020~2024)>.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2022). <지역문화진흥법>.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산업통상자원부 (2022).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 (2023). <지역사업 진흥 계획>.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 [위기의 대학]⑤ ‘구조조정+재정지원’으로 대학의 ‘생존 플랜’ 짜야. (2021. 4. 19).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8158600501
  • 이응봉 (2014).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현상(現狀) 분석과 문제점 진단. <사회과학연구>, 25(4), 227-249.
  • 이제환 (2002). 전환기 대학도서관의 발전을 위한 경영전략.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33(1), 247-264.
  • 정영미ㆍ이은주ㆍ장덕현 (2019). <대학도서관 창의ㆍ협력 학습 환경 구축 연구>.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22). <윤석열정부 120대 국정과제>. 서울: 제20대 대통령실. https://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40075
  • 최예진ㆍ김초해ㆍ이지연 (2023).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40(3), 163-196.

<그림 1>

<그림 1>
외부 환경분석 Framework

<표 1>

국정과제 중 대학 관련 정책과 대학의 변화 종합분석결과

과제 요약 대학도서관의 관련성(의미)
대학혁신지원사업 ㆍ대학이 자율 혁신을 위한 역량을 결집할 수 있도록 사업비 집행의 자율성을 확대 ㆍ대학 자율 혁신에 따른 도서관 예산 확보 노력
고등교육 재정지원 계획 ㆍ고등교육 재정 지원 5개년 계획 수립을 통해 대학의 자율적 체질 개선, 미래사회 및 산업수요에 대응하는 지역혁신, 국가 혁신성장의 원동력으로의 전환 ㆍ미래사회 및 산업수요에 대응하는 지역혁신 대학도서관 정책
ㆍ연구혁신 지원
ㆍ산학연협력 및 취ㆍ창업 혁신 지원
ㆍ대학 평생교육 체재지원
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 ㆍ대학의 학사 운영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학사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으며, 학사 운영의 유연화 및 융합화에 대한 대학의 자체적 노력을 촉구 ㆍ학사 운영의 융합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 및 지원
ㆍ구성원 간 융합적 협력을 위한 공간 제공
글로컬대학 30 ㆍ대학 지원 전략과 대학 내부 구조ㆍ운영을 전면 혁신하여 미래를 선도하는 대학의 혁신모델을 창출 ㆍ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ㆍ대학 내외부의 벽 허물기 공간으로서의 역할
고등교육 정책의 변화 ㆍ미래 대비 교육ㆍ연구 혁신
ㆍ지역 인재 양성 혁신체제 구축
ㆍ자율ㆍ책무의 혁신 기반 조성
ㆍ인구구조 변화 대응 대학 체제 혁신
ㆍ미래 교육ㆍ연구 혁신에 대응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발 촉진
대학진로교육 활성화 ㆍ교육부는 청년들이 진로 결정과 취업을 위해 겪는 부담을 덜어주고자 진로 교육 대상을 대학생까지 확장하고, 대학 진로 교육 관련 사업 예산을 증액 ㆍ진로, 취업 상담 프로그램
ㆍ취업 정보 등 진로 및 취업 관련 교육자료 수집과 제공
ㆍ진로교육 과정 지원 프로그램 및 관련 자료 수집 및 제공
ㆍ문제해결형 교육프로그램인 캡스톤디자인 및 프로젝트 수업 운영 지원
대학 평생교육체제 ㆍ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여건 마련을 위하여 대학 평생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대표적으로 대학 평생교육 체제지원 사업(LiFE)에 대한 지원 강화 ㆍ대학생,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ㆍ대학생,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관련 자료 수집 제공
ㆍ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
지역산업 진흥 계획 ㆍ지역 전략산업의 수요와 연계하여 기업이 원하는 기술ㆍ인력을 제공 ㆍ기업이 원하는 기술ㆍ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ㆍ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
ㆍ청년 일자리 창출 공간 구축(메이커스페이스) 및 역할 강화
산업교육 및 산학연 협력 ㆍ대학 재정과 산업발전을 함께 이루는 선순환 시스템 구축 및 질 제고
ㆍ신기술 분야 등 인재 양성 및 기술사업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ㆍ디지털 사회 대비, 산학연협력 기반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과제 보완
ㆍ신기술 분야 등 인재 양성 지원
ㆍ코로나19 이후 비대면ㆍ디지털 사회 대비 지원
ㆍ산학연협력 기반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지원
ㆍ산학협력 관련 정보원 구축 및 정보공유 및 협력체계 구축 지원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 ㆍ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기초 교양교육 내실화 추진 및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유도
ㆍ각 대학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기반으로 대학별 자율적인 인문학 교육ㆍ연구역량 강화지원
ㆍ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ㆍ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내용ㆍ방법론 관련 정보지원
출판문화산업 진흥 계획 ㆍ대형ㆍ온라인 서점 중심의 유통 강화, 전자책 시장 성장, 구독 서비스 등장, 독립출판 활성화 등 구조적 변화요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ㆍ대응 ㆍ출판문화산업과 연계 협력
ㆍ비대면 여가 활동인 ‘독서’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
ㆍ트랜스미디어 시대 대응 이용자 성향 파악과 대응전략 수립

<표 2>

정책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대학도서관의 관련성 및 의미
창의 융합 역할 및 창의공간제공 ㆍ자율과 창의 중심의 인재 양성을 돕는 대학도서관 구축
ㆍ창업 교육 강화 및 대학도서관 내 창업 생태계 구축
ㆍ청년 일자리 창출 공간 구축(메이커스페이스) 및 역할 강화
미래 교육ㆍ연구 혁신 지원 ㆍ미래 교육ㆍ연구 혁신에 대응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발 촉진
ㆍ교수, 학생 등을 위한 1:1 맞춤형 밀착 서비스 확대
ㆍ연구, 교수학습을 위한 지적 정보의 확대
ㆍ이용자 중심으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 및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의 ‘심장’ 역할
ㆍ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ㆍ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내용ㆍ방법론 관련 정보지원
취창업 및 진로지원 ㆍ진로, 취업 상담 프로그램
ㆍ취업 정보 등 진로 및 취업 관련 교육자료 수집과 제공
ㆍ진로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및 관련 자료 수집 및 제공
ㆍ산학연협력 및 취ㆍ창업 혁신 지원
평생교육 지원 ㆍ대학생,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ㆍ대학생,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관련 자료 수집 제공
ㆍ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
ㆍ대학 평생교육 체재 지원
기업지원 및 산학협력 지원 ㆍ기업이 원하는 기술ㆍ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ㆍ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 조성
ㆍ산학 및 지역 협력 허브로서의 도서관 역할 모델 창출
ㆍ대학 내외부의 벽 허물기 공간으로서의 역할
ㆍ산학연협력 기반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지원
ㆍ산학협력 관련 정보원 구축 및 정보공유 및 협력체계 구축 지원
ㆍ출판문화산업과 연계 협력
ㆍ미래사회 및 산업수요에 대응하는 지역혁신 대학도서관 정책
미래 독서 생태계 구축 ㆍ쌍방향 독서로 전환(과다 정보 시대에 수요자 참여 맞춤형 독서, 글쓰기 등)에 대응 전략 수립
ㆍ개인적(정서적ㆍ지식습득)으로 읽는 독서를 사회적 독서(함께 읽고 쓰고 토론하고 나누는/사회공헌) 중심으로 전환 대응 전략 수립
ㆍ혁신 능력 배양 및 구현을 위하여 미래 독서생태계 조성추진 및 사람과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독서 정책 비전과의 연계성
ㆍ문화기술(CT)ㆍ스마트 환경을 위기 요인에서 기회요인으로 활용지원
지역 및 지역문화의 거점 ㆍ지역 연계 및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 지원
ㆍ문화도시 거점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
ㆍ지역 중심 문화 거버넌스 확립
ㆍ지역 내 공공, 대학도서관 등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 조성

<표 3>

경제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대학도서관의 관련성 및 의미
재정확대전략 수립 ㆍ대학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한 대학도서관 재정 상황에 대한 영향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 필요
ㆍ도서관 관련 문화 분야 예산 감축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
ㆍ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따른 장서, 자료 구입비, 인건비 등 전반적인 예산 확충
비용 효율적 연구지원 전략 ㆍ초격차 국가 전략기술, 미래 도전적 과학기술,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도서관 지원 전략 수립
ㆍR&D 투자 효율화를 위한 지원
ㆍ반도체 등 첨단 분야 인재 양성에 대한 지원 전략 수립
구독 및 구입대비 예산 ㆍ대규모 상업자본의 독과점에 의한 전자저널, 웹DB 가격의 급격한 인상에 대응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
ㆍ도서 자료 구입비 감액 및 전자자료 구독비 증액
ㆍ도서관 예산 다각화
디지털 인프라 확충 방안 ㆍ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ICT 및 디지털 기반 인프라 확충과 지원
ㆍ적절한 자료ㆍ시설 확충으로 이용자 만족도 상승효과 기대,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을 위한 정책 반영
ㆍ자료구입비 외 서비스 개발 및 무인화 장비 등 기기 구입비용 증액

<표 4>

정보화 수준과 대학도서관과의 관련성

과제 요약 대학도서관의 관련성(의미)
웹사이트 접근성 ㆍ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수준과 네트워크 접근성 측면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으나 고령층ㆍ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을 위한 웹사이트 접근성은 표준 미준수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ㆍ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 웹사이트 접근성 방안 적용
정보격차해소 ㆍ고령층ㆍ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일반인 대비 70% 수준
ㆍ불법 유해 콘텐츠 유동, 사이버 폭력, 가짜뉴스 등으로 디지털 공간의 신뢰성이 저해되고 사회적 갈등과 손실 비용 유발
ㆍ고령층ㆍ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ㆍ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 운영
개인 디지털 역량 수준 고도화 ㆍ지능 정보기술의 발전과 각 산업 분야의 디지털 융합으로 개인이 사회ㆍ경제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역량 수준이 고도화 ㆍ디지털 역량 수준 고도화 정책 및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지능정보기술 기반 사회현안 해결 ㆍ지능 정보기술을 이용해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증대 ㆍAI를 활용한 머신러닝, 정밀 진단 등은 신체적 장애 극복, 고령화 시대 노인 돌봄 및 국민 안전 강화 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방안 제안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ㆍ전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
ㆍ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
ㆍ디지털 기술 포용적 활용 촉진
ㆍ디지털 포용 기반 조성
ㆍ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
ㆍ디지털 기술 포용적 활용 지원 전략 수립

<표 5>

정보화 수준과 대학도서관과의 관련성

과제 요약 대학도서관의 관련성(의미)
4차산업혁명에 따른
사서 역할 변화
ㆍ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한 초보적 지식은 모든 사서에게 동일하게 요구
ㆍ프로그래밍의 기본은 물론이고, 텍스트 마이닝과 통계 분석 등의 배경을 가진 인문학 분야 사서 존재
ㆍ데이터 사이언스 역량을 갖춘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ㆍ인공지능과 데이터 비쥬얼리제이션(DataVisualization), 데이터 스토리텔링(DataStorytelling) 등이 사서 교육과정 운영
대학도서관 업무 변화 ㆍ교육 및 연구 활동에 필요한 지원
ㆍ학생들의 학습 및 수업 활동에 필요한 지원
ㆍ대학에서 생산한 각종 지식자원의 수집, 디지털화 및 운영
ㆍ교육 및 연구 활동에 필요한 지원
ㆍ학습 및 수업 활동 지원
ㆍ각종 지식자원의 수집, 디지털화 및 운영
ㆍ대학에서 생산한 각종 지식자원의 수집, 디지털화 및 운영
비접촉 문화변화 ㆍ온라인 자료검색 서비스 이용률 증가
ㆍ전자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ㆍ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ㆍ가상공간을 통한 정보제공 및 서비스가 증가
ㆍ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제공
ㆍ온라인 자료검색 서비스 강화
ㆍ전자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ㆍ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ㆍ가상공간을 통한 정보제공 및 서비스가 증가
ㆍ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제공
공간의 중요성 증대 ㆍ도서관이 책을 읽는 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
ㆍ국가도서관 주요 활동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제공
ㆍ물리적 서비스 환경 변화
ㆍ자원의 재분배
ㆍ조사연구 기능 강화
ㆍ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
ㆍ조사연구 기능 강화
ㆍ물리적 서비스 환경 변화
ㆍ자원의 재분배
생활문화 동호회ㆍ공동체 지원 ㆍ도서관ㆍ박물관ㆍ미술관에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문화모임을 구성하여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1관(館) 1단(團)’ 운영 ㆍ문화공동체 형성 및 활동 지원 프로그램 제공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 ㆍ찾아가는 도서관(책나래) 서비스 및 농산어촌 공공시설을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통한 도서 서비스 접근성 증진 ㆍ찾아가는 도서관(책나래) 서비스 확대

<표 6>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대학도서관의 관련성 및 의미
인구구조
변화 대비 전략
∙학령인구 감소, 대학에서 충원율 감소에 따른 도서관의 대응 전략 수립 필요
∙고령화, 1인 가구 대비 도서관 운영 방안 마련
∙고령층․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공계열에서 초과 수요, 특히 공학 계열에서 초과 수요에 대응한 도서관만의 전략 제시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디지털 역량 수준 고도화 정책 및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 운영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사회적 갈등 해소 포용적 서비스 ∙젠더, 정치 성향 등 다양한 갈등지수를 낮추기 위한 도서관 운영(안) 개발
∙AI를 활용한 머신러닝, 정밀 진단 등은 신체적 장애 극복, 고령화 시대 노인 돌봄 및 국민 안전 강화 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방안 제안
∙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
∙디지털 기술 포용적 활용 지원 전략 수립
∙장애 유형 및 생애주기에 따른 대학도서관 정책 강화
∙찾아가는 도서관 (책나래) 서비스 확대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 웹사이트 접근성 방안 적용
지자체와 협력 ∙지자체 및 지역 산업과 협력하고 지역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서비스 개발과 지원
∙지자체와 대학도서관 간 협력 체제 마련
∙지역산업체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발과 제공
∙문화공동체 형성 및 활동 지원 프로그램 제공
인재상 기반 교육지원 ∙지식기반 사회 인재상 마련을 위한 교육 혁신 프로그램
∙최신 인재상에 맞는 인재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연구지원
평생교육 기능강화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성인 학습자에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개발
∙데이터 사이언스 역량을 갖춘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인공지능과 데이터 비쥬얼리제이션(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스토리텔링(Data Storytelling) 등이 사서 교육과정 운영
대학역할 강화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 지원
∙학습 및 수업 활동 지원
∙각종 지식자원의 수집, 디지털화 및 운영
∙대학에서 생산한 각종 지식자원의 수집, 디지털화 및 운영
도서관 서비스의 최신화 ∙온라인 자료검색 서비스 강화
∙전자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가상공간을 통한 정보제공 및 서비스가 증가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제공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
∙조사연구 기능 강화
∙물리적 서비스 환경 변화
∙자원의 재분배
도서관 경영 ∙사회 트렌드에 맞는 도서관 운영 체계 수립
∙최근 문화시설 등 비영리기관에서도 ESG 경영 등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 및 활동이 확산
∙도서관계도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SDGs 및 ESG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구체화 요구

<표 7>

기술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대학도서관의 관련성 및 의미
4차 산업 혁명
기술 기반 서비스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대
∙빅데이터 활용 교육과정 운영(사서 및 이용자 대상)
∙인공지능(AI), 차세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정보제공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AR/VR, 자율사물, 에너지 효율화, 블록체인 5G 기술을 도입한 서비스 제공
∙빅데이터와 AI,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로 실감
전문 인력
양성 교육
∙대학도서관 전체 직원 대상 지식․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 방법 운영
∙교육 혁신 및 교원 운영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대학 교원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신기술 역량
인재 양성 지원
∙8대 신기술 수요형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
∙신기술 분야 관련 각종 정보자원의 선제적 확보와 제공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역량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 증진 프로그램 운영
∙온라인 학습 지원 전략 수립 및 제공
신기술
정보 자원 서비스
∙미래 유망 신산업인 차세대 반도체 등 산업기술 인력양성에 필요한 정보와 정보자원 제공
∙디지털 신기술 분야 정보자원 확대 및 지원
∙디지털 공유대학 운영에 특화된 정보자원 및 정보지원 서비스
디지털전환 기반
교육 지원
∙디지털 전환에 따른 통섭형 인재를 위한 융복합 교육과정 지원
∙개인 맞춤형 학생성장 지원 서비스 제공
∙온․오프라인교육,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교육 공간의 구축과 활용지원
∙공동체로서의 대학도서관 역할 및 사회적 가치 실현화, 연결화, 지능화, 융합화되는 교육 지원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 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
∙플립러닝 교육환경 서비스 지원
∙하이브리드 및 온라인 학습, 역량 기반 학습, 원격 학습에 대한 능동적 지원 전략 수립
∙무인․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 서비스 확대
연구 데이터 기반 서비스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연구데이터라는 새로운 유형의 학술 자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역할과 서비스의 범위를 확장
∙디지털 데이터의 연결 지원
∙가상현실지원 지식과 기술 확보 전략 수립
창의적 학습 공간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
∙대학도서관 내 창의․협업하는 학습활동 공간
∙‘정보 접근’을 지원하는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공간
∙대학의 물리적 교육환경 지원
디지털리터러시지원 및 교육 ∙미래 필수 역량인 창의, 소통, 협력, 융합 등의 교수학습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들의 도서관 방문 목적 및 요구 또한 점점 다양화되고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적극적 대처
∙디지털 서비스 체험 공간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제공으로 정보격차 완화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미디어 프로그램 개발․운영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
디지털라운지 및
메타 버스 도서관
∙도서관의 디지털라운지 조성 및 운영
∙디지털라운지 연계 프로그램 운영
∙메타버스 내 가상도서관 운영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들에게 단순 체험 및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이해, 코딩 등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

<표 8>

법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과제

대학도서관의 관련성 및 의미
디지털 전환시대 서비스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기반한 데이터 활용 기반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분석 서비스 제공 확대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기반한 딥러닝 기반 맞춤형 서비스 강화
∙디지털 장서, 오픈액세스, 온라인 개방형 학습플랫폼, 시각 및 독서장애인의 출판 저작물, 전자책 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문제의 합리적 조정이 요구됨
도서관 규정과
서비스 개선
∙신정부 규제혁신에 맞춘 대학도서관 서비스 체계 및 대학도서관 규정 개정
∙도서관법 및 시행령 개정에 따른 각 도서관의 규정 개정
∙대학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 개정에 따른 각 대학도서관의 규정 개정
인프라 기준 제시 ∙모든 대학도서관이 「대학설립․운영 규정」에 따른 대학 교육․연구 활동을 위한 교육기본시설이나, 직원 배치․시설 등에 대한 기준 제시
∙사서 미배치, 장서 미확충 등으로 교육․연구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최소한의 여건을 갖추도록 명기 및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