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 도서관 중장기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충남대학교
대진대학교
건국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in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인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과 목표로 수립하고, 이에 따른 중장기종합발전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장기 발전계획을 제안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도서관종합발전계획 분석, 국내 주요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분석, 지역 내외부 환경분석, 과천시 도서관의 운영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여 수립 근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과천시 도서관의 미래 비전은 “시민과 함께 행복을 만들어가는 미래 도서관”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는 시민의 행복을 실현하는 서비스,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다양한 이용자 포용, 지속가능한 미래 지향적 기술과 서비스의 도입이 포함된다. 이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다양한 세부 과제가 설정되었으며, 이 과제들은 시민의 생애주기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취약 계층에 대한 특별한 지원, 문화예술 프로그램 활성화, 디지털 자원의 확대 등을 포함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forward-looking vision and goals for Gwacheon City Libraries, proposing a comprehensive long-term development plan. To formulate this plan,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national library development plans, long-term plans of major domestic libraries, local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operational assessments of Gwacheon City Libraries to identify foundational bases for the proposals. The research results established the future vision for Gwacheon City Libraries as “Creating Happiness with Citizens in a Future Library”. The main strategies to realize this vision include services that achieve citizen happiness, enhanced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inclusion of diverse users, and the introduction of sustainable, future-orien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To specify these strategies, several detailed tasks were set, including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tailored to the life stages of citizens, special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the activ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digital resources.
Keywords:
Gwacheon Knowledge Information Town, Public Libraries, Development Plan, SWOT Analysis, Operation Evaluation키워드:
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 SWOT분석, 운영 평가1. 서 론
「도서관법 제12조」, 「도서관법 제14조」에 의해 도서관의 발전을 위하여 5년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고, 포함 사항으로 도서관정책의 기본 방향, 추진목표, 방법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도서관법 제28조」, 「도서관법 제29조」에 의해 공공도서관은 정보 및 문화, 교육센터로서 수행하여야 할 기능, 설립·운영 및 도서관자료 수집 등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과천시는 교육청 도서관 1개, 지자체 도서관 2개, 작은 도서관 6개로, 총 9개의 도서관이 자리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식정보타운 내 위치할 예정인 도서관까지 포함하면 총 10개의 도서관이 있다. 2022년 05월 기준, 과천시 연령별대 인구를 살펴보면 20~50대 인구분포가 높게 나타남 평균 연령은 40세이며, 취학 아동과 청·장년층 인구가 과천시 전체 인구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과천시 인구는 약 8만 명으로, 경기도 전체 인구 중 0.58%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음 지식정보타운 내 도서관이 건립될 예정인 갈현동에는 19,56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개발사업과 단지 재건축사업이 마무리될 2035년에는 과천시 인구가 약 15만 명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과천시는 새롭게 형성되는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도서관을 새롭게 건립할 예정이며, 늘어나는 인구 수와 새롭게 건립될 도서관,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수립 등에 따라 미래지향적인 과천시의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인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과 목표로 수립하고, 이에 따른 중장기종합발전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중장기 발전계획을 제안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도서관종합발전계획 분석, 국내 주요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분석, 지역 내외부 환경분석, 과천시 도서관의 운영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여 수립 근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를 바탕으로 과천시 공공도서관 및 지역 내외부 환경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천시의 강점(S), 약점(W), 기회(O), 위협(T) 4개 요인을 도출하여 비전, 목표, 운영 전략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2. 선행연구
도서관 건립 및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새로운 수립에 따라 중장기적 운영 방안과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최근 3년 이내에 진행되어 온 지자체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장인호 등(2023)은 정선군의 도서관 발전을 위하여 도서관 정책 혁신 전략을 수립하였다. 연구에서는 정선군 공공도서관이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적절한 전략을 제시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선군의 지역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정선군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선군민을 대상으로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개선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 특성, 도서관 현황, 지역주민의 요구 등을 종합하여 해당 지역에 최적화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강지혜 등(2023)은 서울시 노원구립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SWOT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노원구립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위한 미션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교육 강화, 더불어 읽는 독서문화, 지속 가능한 환경도서관, 노원구 문화 플랫폼이라는 노원구립도서관의 발전 과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송민선 등(2022)은 안양시 지역 주민과 안양시 지역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및 FG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안양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 시사점과 논의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또 장인호 등(2022)은 이어 안양시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 발전 계획 수립을 위한 운영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향후 안양시 공공도서관의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 전략들을 ① 조직체계 및 인력 구성, ②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위한 시설 계획, ③ 장서 개발 및 보존 방향, ④ 특화주제 서비스 방안, ⑤ 협력체계 구축, ⑥ 홍보 방안의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해 제안하였다.
이수영 등(2023)은 도봉구 공공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해 도봉구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주민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요인별로 분석하여 도봉구 도서관에 특화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은 지역사회와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양적·질적 수준을 충족하는 장서의 지속적 수집 및 제공, 세대공감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 간 소통과 이해를 증진하고 지역사회의 통합을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 최신 도서관 공간구성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도서관 시설 및 환경을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하고 직접 체험·실습을 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복합문화공간 등으로 노후화된 도서관의 리모델링 및 공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윤희윤과 오선경(2023)은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 확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관계 법령 및 통계데이터 분석, 사례조사, 의견·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지자체 도서관의 운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들이 수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하여 현황분석, 사례 조사 및 분석 등의 기초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SWOT 분석 등을 실시하여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의 타당성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지역 내외부 환경분석 등을 수행하여 수립과정 및 근거 검토를 진행하며,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SWOT 분석하여 비전 및 전략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과천시 도서관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중장기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행한 연구절차 및 단계별 세부 연구내용은 <그림 1>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운영 목표 및 중장기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과천시 도서관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해 수립과정 및 근거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도서관종합발전계획 분석, 국내 주요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분석, 지역 내외부 환경분석, 과천시 도서관의 운영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셋째, 앞서 수립과정 및 근거 검토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SWOT 분석하여 비전 및 전략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과천시 도서관 운영 및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4. 수립과정 및 근거 검토
「도서관법 제12조」, 「도서관법 제14조」에 의해 도서관의 발전을 위하여 5년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고, 포함 사항으로 도서관정책의 기본 방향, 추진목표, 방법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도서관법 제28조」, 「도서관법 제29조」에 의해 공공도서관은 정보 및 문화, 교육센터로서 수행하여야 할 기능, 설립·운영 및 도서관자료 수집 등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1) 국내 도서관종합발전계획 및 중장기 발전계획 분석
국가도서관종합발전계획과 국내 주요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분석하여 과천시 도서관의 미래지향적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2018년에 수립한 과천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의 분석이 필요하였다. 이어 경기도 권역에 있는 고양시, 안양시, 김포시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분석하였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도서관법 제14조와 동법 시행령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서 국내의 모든 도서관이 준수해야 할 법정 국가계획임.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적용 시기가 2023년을 기점으로 종료됨에 따라, 2023년 국가도서관위원회에서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 연구를 추진하였다.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안)의 수립 방향은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과 랜드마크화, COVID19 엔데믹,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저출산·초고령화사회, MZ세대 부상 등 메가트랜드를 수용하고 국정 비전·목표를 반영하였으며,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비전은 ‘모두가 행복한 도서관’으로, ‘따뜻한 동행’, ‘공동체 성장’, ‘지속가능한 미래’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제4대 정책목표 및 24개 추진과제, 49개 실행계획은 <표 1>과 같다.
경기도는 제2차 경기도 도서관 종합발전계획(타당성 2019~2023)을 제시하면서 비전을 ‘도민 삶의 중심! 경기도 도서관’, 목표를 ‘미래 사회, 함께 길을 찾는 도서관’을 제시하고 4대 추진과제 및 19대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세부과제에는 도서관이 지향하는 바가 ‘미래’와 ‘소통’, ‘열린 도서관’ 및 ‘중심’이라는 4대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당면과제를 제시하였다.
현재 과천시 소속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문화발전의 중심으로서 시민의 인문정신을 함양하고 지식·정보의 허브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책으로 소통하고 공간으로 하나되는 과천시민의 지식정보교류의 장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과천시는 인프라 측면, 서비스/프로그램 측면, 네트워크 측면, 내부프로세스 측면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중장기 세부 과제를 구축하였다. 첫째, 인프라 측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서관 기반 및 지식자원 강화를 통한 미래형 도서관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서비스/프로그램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과학, 독서, 문화 서비스 및 프로그램 고도화를 통한 과천시 독서문화를 확산하고자 하였다. 셋째, 네트워크 측면으로는 강력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역사회 커뮤니티 허브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넷째, 내부프로세스 측면으로 브랜드 가치 확립을 통한 과학 특화 도서관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고양시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반 강화 및 공동체 역량 강화 등을 위해 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방향성을 제고하였다.
먼저,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반 강화를 위해 도서관 신규 건립, 노후도서관의 공간 개선, 미래지향형 스마트도서관 운영, 이용자 중심의 빅데이터 제공 및 맞춤형 서비스 개발, 메이커스페이스 및 웹툰창작실 운영, 안정적인 조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충원 및 역량 강화를 수행하였다. 둘째, 독서·문화·평생학습 콘텐츠 강화를 위하여 양질의 장서 확충, 보존서고 운영, 장서 평가, 빅데이터 활용의 시민 맞춤형 정보서비스 확대,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강화(유·아동, 청소년, 청년, 중장년), 지식정보 취약계층 서비스 강화(다문화, 장애인, 저소득층, 노인), 도서관별 특성화 서비스 운영 등을 정착하였다. 셋째, 공동체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공동체 기억의 보존·공유·확산을 위한 아카이브 구축, 독서동아리 활성화, 출판사·서점·작가·사립작은도서관 등 책 매개의 독서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독서생태계 지도 제작, 작은도서관 인력 및 운영 지원, 학교도서관·대학도서관·전문도서관 등 타 관종 도서관과 협력하였다.
안양시는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강화 및 첨단도서관 구축 등을 위해 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방향성을 제고하였다.
먼저,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이용자 맞춤형 큐레이션 정보봉사 확대, 주제·유형·이용자 대상 등에 대한 전문 정보봉사 지속 운영·강화, 정보불평등계층(장애인, 다문화) 서비스 개선 및 확대, 도서관 이용 취약지역 대상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서비스 지속 확충, 시민 주도형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등의 과제를 운영하였다. 둘째, 첨단도서관 구축을 위해 공공도서관 단계별 공간 개선, 문화·예술·체험 서비스 지속 확대, 관내 복합문화 체험 공간 확충, 다양한 메이커스페이스 공간 조성, 홈페이지 기능 고도화, 통합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 앱 개발, 챗봇 성능 고도화, 인공지능 기반의 로봇 활용, 도서관 서비스별 정보화 신기술 도입 추진 및 고도화, 스마트도서관 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연계 추진 등을 진행하였다. 셋째, 생활 정보의 공유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정보의 온·오프라인 플랫폼화 추진, 지역 주민 네트워크 강화, 지역 생활문화모임 지원, 지역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동아리 활동 지원 확대,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였다. 또 운영 및 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도서관 조직체계 보완, 도서관 인력 확충, 지역중앙관 중심의 공공도서관 간 상호협력체계 구축, 작은도서관과의 협력 활성화 증진을 위한 연계 운영·지원, 지역 유관기관(평생학습센터, 문화센터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학교도서관·대학도서관과의 협력 활성화 증진, 경기대표도서관과의 상호협력 발굴, 장서보존 및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다.
김포시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창의적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 및 생활 친화적 정보서비스 등을 위해 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방향성을 제고하였다.
먼저, 창의적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및 진로 지원(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 청·장년, 노년), 진로연계 지식정보 서비스 확대, 이동도서관 서비스 운영 및 연계 네트워크 구축, 독서 장애인을 위한 독서서비스 확대, 소외계층 독서활동 지원 강화(장애인, 노인, 다문화) 등을 과제로 제시하여 수행하였다. 둘째, 지역 및 생활 친화적 정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문화예술 특화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플랫폼 활용 큐레이션 서비스 개발, 도서관별 북큐레이션 서비스, 휴먼라이브러리시스템 구축, 공동체 지역 아카이빙, 공동보존서고 건립 및 운영 등을 수행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작은도서관 공동체 지원 및 활성화,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고, 이 밖에도 커뮤니티 공간화: 지역주민의 복합커뮤니티공간 마련, 동아리 활동 지원 확대, 시민주도형 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셋째, 책 읽는 문화생태 조성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독서문화 확대, 시민참여형 독서운동 활성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을 통한 인문학적 독서문화를 조성하였다. 넷째, 맞춤형 문화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를 위해 도서관을 통한 예술문화 보급 사업, 복합전시공간으로서 도서관 구성, 지역주민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 및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2024 도서관 핵심 인프라 완성을 목적으로 도서관 기반 확충 및 리모델링, 지역 분권형 도서관 운영체계 구축, 장서 확충 및 자료 서비스 강화, 사서 인력 확충 및 역량 강화, 김포시 도서관 통합·협력 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미래지향적 도서관이라는 과제 아래 ICT 기반 스마트도서관 플랫폼 구축, 디지털 자료 및 메타 서비스 확충, 홈페이지 신설, SNS를 통한 모바일 서비스 강화 등 세부과제를 설정하였고,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도서관 운영, 도서관별 특화 장서개발정책, 문화재단 등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연계 협력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2) 과천시 도서관 운영 평가 및 분석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지표 개선(2020)에 따라 공공도서관 운영평가를 단위도서관과 대표도서관, 운영주체로 나누고 단위도서관을 기존 A~E 5개 그룹에서 A그룹을 A1과 A로 세분하여 총 6개 그룹으로 변경하여 분석하였다.
단위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지표의 그룹핑 기준은 단위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 1인당 시설(30점: 봉사대상인구 1인당 연면적), 장서(30점:봉사대상인구 1인당 도서(인쇄)자료 수), 예산(30점: 봉사대상인구 1인당 예산(자료구입비+운영비, 인건비 제외), 인력(10점: 직원(전체 정규직 직원) 1인당 봉사대상인구) 등 총 4개 항목을 100점으로 종합하여 구분하였다.
과천시는 총 2개의 지자체 공공도서관을 운영 중에 있으며 정보과학도서관이 A그룹, 문원도서관이 B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먼저, 도서관 경영의 배점은 총 40점으로, 개별도서관의 경영 계획과 정책의 연계성, 타 관종과의 협력 및 지역사회 교류를 평가함. 도서관 경영은 계획⋅정책연계와 교류⋅협력 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다시 2개의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됨. 도서관 경영의 평가지표는 <표 2>와 같다.
도서관 영향에 관한 이용자 인식 조사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 작성 과정, 실시, 결과 분석으로 도출된 도서관 서비스 영화과 과제 요약, 환류 계획을 반영하였다. 도서관에서 제출한 이용자/시·도민 인식 조사 결과에 대해 아래 5가지 평가기준에 따라 각각 단위도서관은 최고 3점으로 항목별 점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도서관 영향에 관한 이용자/시·도민 인식 조사는 전국 평균에 비해 과천시의 경우 주기적으로 이용자 조사를 하고 있어 모든 도서관이 높은 점수를 부여받았다(<표 3> 참조).
우리 삶을 바꾸는 도서관 연간/중장기 계획에 관한 평가를 위해, 도서관 운영실태 및 전년도 사업 평가, 조직역량강화를 위한 계획, 공간의 혁신성을 위한 계획, 장서개발 및 관리 계획, 정보서비스 계획, 지역 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계획,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계획 등을 포함한 사업계획서를 A4용지 4매 이내로 요약하여 제출하였다. 해당 연도의 사업계획에 대해 아래의 5가지 기준에 따라 각각 최고점을 2점으로 항목별 점수 부여 후 합산하여 총점 산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 삶을 바꾸는 도서관 연간계획은 전국 평균에 비해 과천시의 경우 주기적으로 이용자 조사를 하고 있어 모든 도서관이 높은 점수를 부여받았다(<표 4> 참조).
지역 공동체의 역할 강화를 평가하귀 위해, 문화서비스 확대, 공동체자료 아카이빙, 아웃리치 확대, 사회서비스 연계, 도서관계 협력 강화 추진 실적을 평가하였다. 과천시 지역 공동체의 역할 강화을 살펴보면, 중앙관 역할을 하는 정보과학 도서관의 경우 평균점수에 도달하였지만, 문원도서관의 경우 평균 점수 보다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다음은 시설환경을 분석하였다. 사회변화와 시대의 요구에 호응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공간에도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시설 영역 지표를 신설하였다. 시설환경의 배점은 총 15점으로, 단위 도서관은 5개 기준에 따라 각 도서관에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항목별 최고점 3점, 2점, 4점의 한도에서 점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표 6> 참조).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3대 핵심가치 중 하나인 ‘공간의 혁신성’을 지표명에 반영하고, 해당 되는 내용으로 선택 항목을 제시하여 정량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과천시 공간의 혁신성을 보면, 정보과학도서관은 15점 배점에 15점 만점으로 순위에서 A그룹 전국 195개 도서관 중 1위를 차지했고, 문원도서관은 13점으로 B그룹 195개 도서관 중 63위를 기록하였다(<표 7> 참조).
도서관 서비스는 평가지표를 자료서비스, 서비스 혁신으로 나누고 자료서비스의 세부 평가지표로 자료이용 및 서비스 연계, 도서관 빅데이터 공유를 평가함. 그리고 서비스 혁신에서는 미래를 여는 도서관 서비스 혁신 사례를 정성평가로 두고 평가 배점이 가장 높은 200점을 부여하였다(<표 8> 참조).
먼저 자료서비스 중 자료이용 및 정보서비스 연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점은 단위도서관은 35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하고 세부 지표는 단위도서관에서는 ‘평가그룹별 자료대출 실적’, ‘전년 대비 자료대출 증가율’, ‘상호대차 실적(의뢰, 제공 건수)’로 구분하였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평가그룹별 자료대출실적 평균’을 기준치로 설정, 평가그룹별 상위 도서관과 하위 도서관을 20%, 40% 증감 간격으로 6단계 평가하였다. 단위도서관별 전년 대비 도서대출권수 증가율을 산출하여 0% 이하, 2% 이하, 5% 이하, 10% 이하, 30% 이하, 30% 초과의 6단계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 “상호대차서비스 실시 실적 ÷ 봉사대상인구수”를 측정하고, 상위순으로 20%, 40%, 30%가 동일 배점영역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상대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과천시 자료이용 및 정보서비스연계 부분을 보면, 정보과학도서관은 지표 도달률이 상위 권에 속하고, 문원도서관도 평균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표 9> 참조).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도서관 경영의 과학화와 이용자 서비스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해 문체부에서 제시한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및 도서관 빅데이터 연계·협력 방안’을 반영하여 신설함. 도서관 활동의 기본 데이터(서지, 회원, 대출 데이터 등)와 부가적 데이터(프로그램 등)를 생산, 도서관 정보나루 등을 통해 공유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도서관 현장의 데이터 공유 참여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각 도서관에서 생산할 데이터의 범위와 기준 등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도서관별로 기본 데이터와 부가적 데이터의 공유 여부에 따라 각각 5점의 배점을 적용하고 합산하여 총점을 부여하였으며, 정보과학도서관, 문헌도서관 모두 5점으로 평가 도달률은 50%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순위는 높은 편에 속한다(<표 10> 참조).
미래를 여는 도서관 서비스 혁신 사례를 평가하였다. 사업의 혁신성 및 우수성, 사업 추진과정의 이해관계자 들과의 상호작용, 사업을 통한 지역공동체에서 도서관 역할 확대 효과, 지속가능성 및 확장성, 논리적 체계성, 투입예산및 인력 확보/조정 과정에 따라 항목별 해당 배점을 부여하고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타 도서관 및 지역주민과 공유하고 싶은 사업을 한 가지 선정(① 생활 밀착형 정보서비스 확대 (레퍼런스 서비스 및 기록, 테마 컬렉션 구성 등), ② 사회서비스 연계 도서관서비스 (지역 복지시스템 연계한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등), ③ 도서관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소통 촉진, ④ 지역 공동체 자료 수집 및 활용, 아웃리치 확대 및 특수환경 이용자 서비스, ⑤ 공유공간 개방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동 지원, ⑥ 도서관을 통한 디지털·그린 뉴딜 구현)하여 작성하였다.
평가 결과, 과천시 미래를 여는 도서관 혁신 사례를 보면, 정보과학 도서관의 경우 상위권에 있지만 문원도서관의 경우 하위에 머물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운영 평가의 정량, 정성, 총점 결과는 A그룹에 속한 정보과학도서관은 정량평가가 54(90.0%)점으로 전국 38.9(64.8%) 보다 월등이 높고, 정성평가도 215(89.6%)점으로 전국 165.3(68.9%) 보다 높게 나타남. 이에 A그룹 총점을 보면 과천시 운영 평가 결과 269(89.7%)점으로 전국 204.2(68.1%)보다 64.8(21.6%) 높아 운영이 전반적으로 잘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B그룹에 속한 문원도서관은 정량평가가 43(71.7%)점으로 전국 36(60.0%) 보다 높지만, 정성평가의 경우 166(69.2%)점으로 전국 209(69.7%)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에 B그룹 총점을 보면 과천시 운영 평가 결과 209(69.7%)점으로 전국 205.7 (68.6%) 평균과 비슷하여 운영에 대한 개선점이 필요하다(<표 12> 참조).
A그룹에 속한 정보과학도서관은 정량평가는 195개 도서관 중 25위, 상위비율은 12.8%로 나타났고, 정성평가는 27위 상위비율 13.8%로 나타났다. A그룹 전국을 대상으로 하면 21위 상위비율 10.8%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B그룹에 속한 정보과학도서관은 정량평가는 195개 도서관 중 68위, 상위비율은 34.9%로 나타났고, 정성평가는 155위 상위비율 79.5%로 나타났다. B그룹 전국을 대상으로 하면 1321위 상위비율 67.7%로 정성평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3> 참조).
과천시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방사형 도식화하면 다음 <표 14>와 같다.
과천시 정보과학도서관은 2021년 300점 만점에서 269점(89.7%), 문원도서관은 209점(69.7%)으로 도서관 서비스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서관별 영역별 격차가 두드러진 부분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과천시 공공도서관별 강점과 약점으로는 과천시 모든 도서관에서 시설환경 영역이 잘 운영되고 있으며, 정보과학도서관은 도서관 경영이, 문원도서관은 도서관 서비스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서관별 영역별 격차가 두드러진 부분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표 15> 참조).
평가 결과 시사점으로는 첫째, 도서관 경영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천시는 주기적인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이용자 및 시민의 인식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점수가 2개의 도서관 모두 높지는 않아 세부 평가지표 확인이 꼭 필요하며, 다음 이용자 인식조사에 세부 항목의 반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의 삶을 바꾸는 도서관 연간계획은 과천시의 경우 3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에 따라 중장기 발전계획이 수립되어 10점 만점 중 2개 도서관 8점을 받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타 지역의 경우도 중장기 발전계획이 주기적으로 수립이 되고 있어 이 평가지표는 10점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세부 항목을 바탕으로 보고서 작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공동체의 역할 강화의 경우 정보과학도서관의 경우 평균과 비슷하고 문원도서관의 경우도 평균보다 낮아 개선이 꼭 필요한 항목이다.
둘째, 시설 환경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 환경의 공간의 혁신성의 경우 정보과학도서관은 15점 만점을 문원도서관은 13점을 받아 정보과학도서관은 1위에 선정됨. 다만 타 도서관도 이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어 문원도서관도 현재 63위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 시사점 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료이용 및 정보서비스 연계(자료대출, 자료대출 증가율, 상호대차 실적)의 경우 정보과학도서관의 경우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상대적으로 문원도서관의 경우 평균보다 조금 높게 나타나 문원도서관의 경우 정량적인 점수를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도서관 빅데이터 공유의 경우 모두 10점 만점에서 5점으로 나타났지만 타 도서관에 비해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를 여는 도서관 서비스 혁신 사례의 경우 정보과학도서관은 높게 나타났지만 문원도서관은 평균보다 낮아 개선이 필요하다.
5. SWOT 분석을 기반으로 비전 및 전략의 타당성 확보
1) 과천시 도서관의 강점과 기회요인
과천시 도서관의 강점과 기회요인 중 하나는 지식정보타운 건립함에 따른 인구 수의 증가이다. 과천시 공공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는 전국평균 53,333명당 1개관, 경기도 평균 47,488명당 1개관보다 높은 26,138명당 1개관으로 전국평균, 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계획적으로 인구밀집지역 중심의 도서관 운영으로 인해 신규 조성되는 지식정보타운의 인구를 고려한 신규도서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지식정보타운의 인구는 총 5만여 명으로 지식정보타운 내 인구 19,109명과 기업입주예정인구 27,000명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복합문화시설인 도서관에 대한 시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음 기회는 우수한 도서관 확보면적이다. 과천시 공공도서관의 인구 1,000명당 연면적(㎡)은 전국평균 50㎡, 경기도 평균 67.91㎡에 비해 충분한 231.47㎡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기도 도서관 정책권장 70㎡에 비해 도서관의 확보면적은 우수하나 균등한 도서관의 배치가 되지 않아 봉사대상인구 수용을 위한 도서관 관수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과천시 4개 단지가 최근 재건축을 통한 입주를 시작하면서 과천시의 인구가 급증하고 있어 단순 도서 대출 서비스 외 시민이 요구하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 등 도서관 기능을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고, 지식정보타운 일원의 도시개발에 따라 새롭게 유입되는 시민들의 문화 향유 충족 및 안정적인 독서환경 제공을 위한 도서관 신축이 필요하다.
세 번째 강점 및 기회요인으로는 시민 참여형 지역 문화 발전이 있다. 도시개발사업의 활발한 추진에 맞춰 지식정보타운 내 주민들에게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융복합 문화교육 시설물 제공과 더불어 시민 정보문화 수요에 대응하는 문화생활을 향유함으로서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육, 문화적 기능과 오락적 기능이 포함된 다양한 평생학습프로그램 제공으로 시민들의 참여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도서관 저변확대와 지역문화발전 도모가 가능하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기본기능인 정보제공 및 사회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에 맞는 장서 구성으로 지역민 누구나 평등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환경 조성하여 시민의 지식수준이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과천시 도서관의 약점과 위협요인
과천시 도서관의 약점과 위협요인 중 하나는 시민들의 요구와 증가하는 인구에 비하여 열악한 도서관 수를 꼽을 수 있다. 과천시 도서관 확보면적은 지역인구 78,414명 대비 18,150.98㎡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으며 인구 1,000명당 약 231.47㎡를 확보하고 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인구 1,000명당 도서관 확보면적으로 80㎡를 권장하고 있으며, 과천시는 인구대비 도서관의 면적은 현재 기준보다 초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서관의 인프라를 고려할 때 인구 1,000명당 확보면적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으나, 지역의 규모와 이용수요 등을 고려할 때 공공도서관의 신규건립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다음으로는 과천시 공공도서관 3개소 서비스의 한계이다. 과천시 공공도서관 3개소 중 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면적은 5,500㎡이며 운영 주체가 달라서 실질적인 봉사 서비스는 13,000㎡로 운영 중에 있음 현재 수치로는 경기도 내 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으로 매우 우수한 도서관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나, 지역 특성상 면적대비 인구밀집도가 높아 원활한 서비스에 한계가 있음 과천시 정보과학도서관의 경우 순수 도서관 기능 면적이 약 45%로 전체 면적대비 원활한 도서관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서 운 상황이다. 3기 신도시들의 도시개발사업과 지역 6개 단지 재건축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는 시점인 2035년에 과천시의 인구를 약 15만 명으로 예상하며, 인구급증에 따른 도서관의 수와 면적 확보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젊은 층의 출산 기피 및 고령화 추세이다. 2017년 과천시 노인인구 수는 과천시 총인구의 12%를 차지하며, 고령사회로 한 단계 더 다가가고 있다. 또한, 과천시의 노인복지시설은 2012년과 대비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장년층 이상을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과 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모든 도서관에 가능한 노인이용자를 위한 이용공간(실버 스페이스)을 별도로 마련하고, 노인이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건강정보, 재취업 정보 등의 관련 도서코너와 콘텐츠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3) SWOT 분석을 통한 대응전략 도출
과천시 지역여건 및 도서관 여건의 종합분석을 위해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SWOT 분석을 통해 과천시 도서관의 내부 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강점은 최대화, 약점은 최소화시키며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며, 지역여건 및 공공도서관 현황, 도서관계 환경변화 및 정부의 정책 방향, 구민 및 이용자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인천시 동구 공공도서관이 처한 상황을 인식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 및 전략과제 등을 SWOT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그림 2>와 같으며, SWOT 분석을 통한 지역 및 도서관 여건 종합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대응과제를 도출하면 <표 16>과 같다.
6. 과천시 도서관 비전 및 중·장기 주요 전략 수립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지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개인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주지만, 지역적 측면에서는 산업 및 사회·문화 콘텐츠 구축의 구심점 역할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및 교육 등을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으며, 최근 도서관계서는 소통과 공유를 강조하며 복합커뮤니티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과천시 도서관은 미래 생존을 위한 미래지향적 핵심가치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이에 비전과 전략 방향과 추진과제 선정을 위한 절차는 다음의 <표 17>과 같이 설정해야 한다.
1)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과 목표, 추진 방향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설정에는 과천시의 시정철학인 『시민이 만드는 행복도시 과천』을 모티브로 하여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도서관의 이미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또 비전달성을 위한 운영목표에는 “시민의 행복한 삶을 만드는 미래 혁신 도서관”으로 정하고 과천시 도서관은 항상 시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존재하고 운영해야 하며, 소극적인 지원자의 자격이 아니라 시민과 함께하는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과 추진방향은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확대 및 강화, 정보환경 및 사회환경 변화, 시민 의견 조사 시사점 그리고 국가 도서관 정책 등을 참조하여 설정하였으며,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 추진목표, 그리고 전략 방향은 <그림 3>과 같다.
2) 과천시 도서관 중장기 주요 정책 전략 제안
과천시 도서관의 주요 정책 전략은 앞서 제시한 4대 전략방향, 12대 세부과제에 맞춰 제시하고자 한다(<표 19> 참조).
시민의 행복을 공유하는 도서관 전략의 세부과제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지원, 취약계층 및 정보불평등계층 서비스 개선 및 확대, 문화예술 프로그램 및 이용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생애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지원을 위해서, 유아·어린이 및 가족 대상, 청소년 대상, 청년 및 성인 대상, 노인 대상의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하여야 한다(<표 20> 참조).
둘째, 취약계층 및 정보불평등계층 서비스 개선 및 확대를 위해서, 장애인, 산모수첩을 보유한 임산부, 생후 24개월 미만의 영아를 둔 가정, 만 6세 이하 두 명 이상의 자녀를 둔 다자녀 가정, 70세 이상 어르신, 다문화 가정 등 도서관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이용자를 위해 택배 배송형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취약계층 대상의 무료 택배대출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음으로 국립장애인도서관, 사회복지시설 등 전문적인 단체와의 적극 의견 공유 및 협력 프로그램 운영(국립장애인도서관-장애인 독서문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 장애아동, 비장애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형식의 교육·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 장애아동을 위한 연극, 공연, 전시, 음악 관련 프로그램, 놀이치료, 참여형 프로그램 등으로 평등한 문화활동의 기회 제공 등 장애아동 대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또 다문화 장서 구축이나 고유문화 존중과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의 다문화 가정 대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노인 계층을 세부 구분하여 맞춤형 정보서비스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향후 과천지식정보타운 도서관이 문화예술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안하여 문화예술 프로그램 및 이용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과천지식정보도서관의 주 이용층이 인근 거주 청소년과 문화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청년, 지역주민 등임을 감안하여 특화주제의 운영에 있어 청소년과 청년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비중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관기관, 단체, 개인과 지속적인 회의 및 행사, 협의를 통한 업무공조를 위해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특화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하고, 과천시 및 과천문화재단, 과천문화원, 과천시 추사박물관과의 MOU를 통하여 문화예술 관련 행사 공유 및 북큐레이션 및 이용자 문화예술정보에 있어 긴밀한 관계를 맺어 문화예술정보서비스를 위한 연계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복합문화공간 도서관 전략의 세부과제로 책 읽는 문화공간 조성 활성화, 공동체 기억의 보존·공유·확산, 시민참여형 도서관 서비스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책 읽는 문화공간 조성 활성화를 위해서, 도서관 공간별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공간별 프로그램을 제시하면 <표 21>과 같다.
둘째, 공동체 기억의 보존·공유·확산, 시민참여형 도서관 서비스 운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 공동체 자료 아카이브를 위한 행정기관, 전문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과천시청 등 행정기관에 발간한 통계 및 면지 자료, 과천시의 역사, 문화, 유적지, 교육, 민속, 문화유산 등에 관하여 조사한 서적, 논문, 보고서 등의 문헌, 과천시 관련 생활 민속자료, 지역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는 자료 수집, 과천시 향토자료 및 지역자료 등을 디지털화하여 과천시 향토자료 및 지역자료 확보 방안 제시, 경기관광공사 향토자료실, 과천 소재 박물관, 과천시청 등 전문기관에서 소장 중인 과천 관련 향토자료 목록화, 과천문화원에서 발간하는 연속간행물과 개인 저자의 지역 연관 자료를 수집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시민참여형 도서관 서비스 운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천시 공공도서관 이용자 대상으로 시민 모니터링단 모집 후 활동에 대한 교육을 받고 활동을 실시하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시민 모니터링단’을 운영하고, 과천시민 대상의 도서관 관련 주제로 숏폼, 사진공모전 개최 등을 진행하여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 생성하여야 할 것이다.
도서관 운영 및 협력체계 강화 전략의 세부과제로 도서관 장서개발 정책(특화), 도서관 운영체계 질적수준 제고, 포용적 서비스를 위한 지역사회 협력 추진 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도서관 장서개발 정책(특화)로 청년문화예술인 중심의 문화예술 복합 공간이 조성될 것을 고려하여, 청년 중심의 특성화 장서를 구성하고, 주 이용자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청소년(학생) 중심의 특성화 장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 특화자료 확보를 위해 도서구입 예산의 3%를 할당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수집을 해야 하고, 자료 형태나 출간년도 등에 구애받지 않고 골고루 확충하며, 기관 또는 개인 기증을 통한 자료 확보하는 등의 수집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운영체계 질적수준을 제고해야 한다. 과천지식정보타운 도서관 조직구조는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과 과천정보과학도서관, 유사규모 도서관 등의 조직구조를 기반으로 제안하였다(<그림 4> 참조).
셋째, 포용적 서비스를 위한 지역사회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포용적 서비스 구축위해서는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예로는 과천시 공공도서관 간 책이음 서비스 연계시스템을 통해 군민의 도서관 접근성 확보되어야 한다. 한 번의 회원가입 및 하나의 회원증으로 과천시 공공도서관에서 대출을 포함한 제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협력 방안으로서 통합 회원제를 운영해야 한다. 또 독서문화프로그램의 개발 및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과천지식정보타운도서관이 새로운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 내 공공도서관과 공유함으로써 지역주민 간 문화 격차 해소 및 참여율 향상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직원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 연구모임 등 지원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지원으로는 특정 분야,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모임을 반년 단위로 모집 후 운영 예산 및 공간지원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지향적 도서관 전략의 세부과제로 스마트도서관 플랫폼 구축, 도서관 정보 제공 플랫폼 다양화, 디지털 독서 기반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도서관 플랫폼 구축을 위해서는 전자도서관 서비스 구축을 위한 과천시 공공도서관의 통합검색시스템 구축이 시행되어야 한다. 통합 운영에 따라 시스템 고도화, 유지보수, 디지털 콘텐츠 등 중복투자 비용 절감 가능, 데이터베이스 통합을 통한 정보서비스, 상호대차, 타관 반납 등 효율적인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 정보보호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각종 통신망을 통합 운영 필요하고, 다양한 연령층의 정보 요구를 고려한 전자책을 제공해야 한다. 빅데이터 활용성 증가에 따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서 구축, 도서관 빅데이터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한 추천도서 서비스 등도 함께 제시되어야 하며, 챗봇 서비스(카카오톡)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 휴관, 이용 안내, 빅데이터 추천을 통한 추천도서 제공, 도서 이용 현황 파악 등 정보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직원의 업무 분담, 업무의 효율성 제고 등 도서관의 업무 효율성 관련 부문에 기여가 가능하다.
둘째, 도서관 정보 제공 플랫폼 다양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SNS별 주 이용자층과 이용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종류의 SNS 운영을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 유입 및 활용도 높은 매체를 중심으로 집중 홍보가 가능하다. 예시로 유튜브를 개설하여 도서관 이용방법, 도서관 시설 소개, 신작, 최다 대출도서, 추천도서 등 도서정보 소개, 독서문화프로그램 소개·홍보, 도서관 이용자 교육 등 도서관 이용에 필요한 영상 제작·업로드되어야 한다. 또 인스타그램을 개설하여 도서관 소식 및 소개와 관련한 정보 중심의 게시글 콘텐츠를 공유해야 한다. 이런 서비스는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자가 모바일을 통해 필요한 소식을 접할 수 있도록 일반소식, 홍보, 도서관의 휴관, 재개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셋째, 디지털 독서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성화 자료, 귀중서, 고문헌, 일반도서, 참고도서, 연속간행물, 정부간행물, 학위논문, 신문자료, 비도서 자료, 오프라인형 전자자료 등 포함한 디지털 자료 수집, 인쇄본의 대용물로서 인쇄자료나 사진, 녹음자료, 동영상들 중에서 희귀하고 훼손되기 쉬운 자료나 유일한 자료 등을 디지털화하여 보존, 주로 훼손된 자료, 희귀자료, 시청각자료 등의 자료 전자대체물화,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아카이빙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7. 결론 및 제언
과천시는 현재 9개의 도서관을 운영 중이며, 인구 증가와 도시 발전에 따라 새로운 공공도서관을 포함해 총 10개의 도서관을 계획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천시는 도서관법에 근거하여 5년마다 갱신되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 계획은 도서관의 기본 방향, 목표, 운영 전략을 포함한다. 이번 중장기 계획의 목적은 과천시 도서관을 지식정보 중심지로서 뿐만 아니라 문화, 교육의 핵심 공간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과천시 도서관의 미래지향적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우선 국가 차원의 도서관 종합발전계획과 국내 주요 도서관의 중장기 발전 계획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천시 내외부의 환경을 분석하고, 현재 과천시 도서관의 운영 상황을 평가하여 이들 정보를 토대로 도서관 발전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연계하여,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보고서 결과를 활용하여 과천시 공공도서관 및 지역 환경의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바탕으로 과천시 도서관의 비전, 목표 및 운영 전략의 타당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과천시 도서관이 미래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과천시 도서관의 경영과 서비스에 관한 평가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과천시 도서관은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며,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도서관 경영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천시의 도서관들은 주기적으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용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두 도서관 모두에서 평가 점수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므로, 세부 평가 지표를 세심하게 분석하고, 다음 조사에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로서, 정보과학도서관은 공간 혁신성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으나, 문원도서관은 다소 낮은 점수를 기록하며 63위에 그쳤다. 이는 두 도서관 모두 시설 개선과 공간 혁신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 시사점 을 분석한 결과로, 정보과학도서관은 자료 이용 및 정보 서비스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문원도서관은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이 분야에서의 점수 개선이 가능한 영역을 재검토해야 한다.
빅데이터 공유에서는 두 도서관 모두 중간 점수를 획득했으며, 이는 타 도서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서비스 개선을 통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천시 도서관의 미래 비전을 “시민과 함께 행복을 만들어가는 미래 도서관”으로 설정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는 시민의 행복을 실현하는 서비스,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다양한 이용자 포용, 지속가능한 미래 지향적 기술과 서비스의 도입이 포함된다. 이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다양한 세부 과제가 설정되었으며, 이 과제들은 시민의 생애주기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취약 계층에 대한 특별한 지원, 문화예술 프로그램 활성화, 디지털 자원의 확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계획의 실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시민 참여와 피드백, 첨단 기술의 통합 및 활용,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교육적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혁신이 필수적입이다. 과천시 도서관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역 커뮤니티에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지역 사회의 지식 및 문화적 자산을 더욱 풍부하게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3년 ‘과천지식정보타운도서관(가칭) 건축기획·종합운영계획 연구용역’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지혜·배경재·정다희 (2023). 서울지역 구립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4(1), 5-26.
- 송민선·장인호·황금숙 (2022).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이용자 및 전문가 인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6(1), 67-93.
- 윤희윤·오선경 (2023). 대구시 중장기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7(3), 97-117.
- 이수영·양지안·남재우·송민선 (2023). 도봉구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주민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4(4), 183-205.
- 장인호·노영희·강지혜·곽우정 (2023).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혁신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4(3), 295-320.
- 장인호·황금숙·송민선 (2022). 안양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및 운영 전략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9(1), 145-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