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 Article ]
Journal of Social Science - Vol. 34, No. 3, pp.93-118
ISSN: 1976-298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3
Received 20 May 2023 Revised 23 Jun 2023 Accepted 14 Jul 2023
DOI: https://doi.org/10.16881/jss.2023.07.34.3.93

한국사회의 공정성 인식과 행복: 세대 간 차별적 관계를 중심으로

윤민재 ; 임정재
연세대학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A Study on Fairness Perception and Happiness in Korea: Analyzing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 of Fairness Perception Depending on Generational Divisions
MinJae Yoon ; JeongJae Lim
Yonsei Universit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Correspondence to: 임정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태봉로 114,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E-mail : jjlim@kicj.re.kr 윤민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제1저자)

초록

코로나 시대를 거쳐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사회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국민들의 삶의 수준과 행복은 추락하고, 동시에 우울증과 자살, 번아웃 증세 등 심리적 문제도 악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청년세대가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미래의 불확실성 문제가 공정성 문제와 연관되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초점을 맞춰 행복을 공정성 인식에 대한 심리적 반응의 결과물로 이해하고, 그 관계가 세대별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탐색하였다. 2022 불평등·공정성 국민인식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독립변수로 공정성 인식, 종속변수로 주관적 행복을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표본(전체·남·녀 표본)에서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정적(+)연관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정성 인식과 세대구분(베이비붐 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변수 간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자 Z세대(모든 표본) 및 M세대(여성 표본) 상호작용 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세대 간 차별적 관계가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공정성 인식과 행복감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밝혔으며, 추후 행복 관련 연구에서는 세대별·성별 간 사회적 갈등의 원인과 함께 공정성 문제의 맥락이 반영되어야 함을 함의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perception and happiness in Korean society and the effects of generational divisions on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the 2022 Public Opinion Online Survey on Inequality and Fairnes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Fairness perception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four types of generation divisions (Baby Boom, Generation X, Generation M, and Generation Z) were used as moderating variable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airness perception and happiness. Generation Z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happiness as fairness perception increased, for both male and female samples as well as the overall sample. In the female sample,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fairness perception and Generation M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irness perception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resolv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developing public policies.

Keywords:

Inequality, Fairness Perception,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Generation

키워드:

불평등, 공정성 인식, 행복, 주관적 안녕, 심리적 안녕, 세대

1. 서 론

2021년 한국의 10만명당 자살자 수는 23.6명으로 OECD 국가 1위를 기록했다. 총사망자수는 전년도에 비해 1.2% 증가하였다. 그리고 10, 20, 30대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었다(이대희, 2022.9.27). 또한 한 조사에 의하면 MZ세대로 불리우는 20, 30대의 심리적 질환의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 조사에 의하면, 20, 30대 응답자 중 44%가 번아웃을 경험하였다.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학업·결혼의 어려움,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인해 좁아진 취업 관문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불안정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송유근, 2022.10.28).

이러한 자료들을 볼 때 한국사회의 자살과 우울증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UN의 ‘세계행복보고서 2020’에서 발표한 전 세계의 행복점수를 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한국의 행복 평균값은 조사 대상 153개국 중에서 61위였다. 2012년과 2013년의 보고서를 비교해 보면 한국의 행복점수는 10점 만점에 5점대 후반에서 6점대 초반으로 상승하여 56위에서 41위로 상승하였지만, 이 순위는 여전히 조사 대상 국가들 가운데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었다(우성대, 2014, 309쪽). 그리고 2020년 OECD의 ‘Better life index’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행복순위는 35개국가 중 28위였다. 특히 소득, 커뮤니티, 환경,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생활균형 영역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김진욱, 임현, 최영준, 김진, 2021, 138-139쪽).1)

여기에서 우리는 한국사회의 삶의 만족도, 행복도가 낮은 배경과 그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공정성이 화두가 되고 있다. 세대 간의 갈등과 대립이 늘어나고 동시에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공정성 문제가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공정성 문제(공정성 인식)가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정성 인식과 행복도의 관계는 세대별로 어떠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가운데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집단인 MZ세대의 행복도는 다른 세대와 어떠한 차별성을 갖고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흔히 청년세대를 폭넓게 지칭하는 MZ세대는 경제저성장과 위기 속에서 경쟁이 심화되면서 만성적 불안과 스트레스, 번아웃에 시달리기도 한다(곽연선, 2023, 41쪽). 이들 집단이 갖는 삶에 대한 만족이나 우울증 등은 다른 세대에 비해 부정적인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세대별 행복도 차이와 함께 MZ세대의 공정성 인식과 행복 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낮은 행복도, 그리고 MZ세대의 높은 자살률과 우울증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세대”를 청소년시기 한국사회의 주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코호트(cohort) 개념(함인희, 2002)으로 주목하여, 각 세대가 한국사회의 공정성을 둘러싼 이슈들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내면화함으로써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가 차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세대유형을 베이비붐 세대(baby boom, 1954~64년생), X세대(generation X, 1965~79년생), M세대(generation M, 1980~94년생), Z세대(generation Z, 1995~2003년생)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흔히 대중매체에서 MZ세대를 묶어 하나의 동질적 집단으로 가정하는 경향이 있으나 M세대와 Z세대는 사회적 경험의 내용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처해있는 사회적 위치와 정치적 성향에도 차이가 있다. 실제로 M세대와 Z세대에 해당하는 청년들에게서 이러한 구분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여론이 대두되고 있다(송한나, 2022.3.26; 박재령, 2022. 11.29). 따라서 MZ세대를 하나의 동질적 집단으로 놓고 특정 사안이나 쟁점을 분석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성별에 따른 맥락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이대남-이대녀 갈등, 스윗중년 등의 표현에서 드러나듯 공정성 이슈가 세대와 젠더를 교차하여 갈등을 빚어내고 있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라 세대별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는 상이할 가능성 또한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먼저 행복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 한계를 검토할 것이다. 이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탐색적 측면에서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가 세대와 성별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2. 선행연구 검토

1) 행복에 대한 다양한 접근

행복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 등장하였다.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인간에게 좋은 것에 해당되며,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자족적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인간의 좋음은 미덕에 걸맞은 혼의 활동이며, 행복은 혼의 유덕한 활동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미덕은 지혜, 이해력 같은 지적인 덕과 후함, 절제와 같은 도덕적 미덕이 포함된다. 이때 행복한 사람이란 외적인 좋음도 구비하고 일정 기간이 아니라 평생토록 유덕한 활동에 전념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미덕에 걸맞은 삶과 그런 삶 속에 속하는 행복은 인간적인 것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보았다. 이때 정치학의 주된 관심사는 시민들이 고상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좋은 시민으로 육성하는 것이었다(Aristoteles, 2013, 41-58쪽). 행복과 관련된 것들을 추구하는 것을 철학에서는 유다이모니즘(Eudaimonism)으로 부른다. 행복을 쾌락으로 보고 좋은 삶은 육체적, 정신적 쾌락을 추구해 얻는 삶으로 보는 헤도니즘(Hedonism)과는 다른 입장이 바로 유다이모니즘이다. 유다이모니즘은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삶, 이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는 삶을 통해 얻는 기쁨이 더 근원적이고 중요한 것으로 본다. 여기에서 행복은 삶의 의미를 관조하고 실천하고 자아를 실현하는 것으로 드러난다(구교준, 임재영, 최슬기, 2015).

현대사회에서 행복은 소득, 경제성장 등 외연적이고 사회적인 요소에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주장하는 논자들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한다. 사회경제적 지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는 소득 문제이다. 이는 물질적 차원과 관련된 변수 속에서 행복의 정도를 바라보는 것이다. 즉 소득과 행복의 관계에서 소득이 증가가 행복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행복이 증가한다고 보지만 이스털린의 역설처럼 일정 정도가 넘어가면 행복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약화될 수 있다. GNP 등 국가총생산과 국민들의 행복은 의미 있는 연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털린은 물질적 차원인 객관적 조건이 사람들의 주관적 안녕이나 행복에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행복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과 의식, 만족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소득 수준이 일정 시간 지나면 그 효과는 영향력을 갖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만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 즉 가족생활, 건강, 노동의 효율성 등으로부터 삶의 만족도와 행복을 파악해야 한다(Easterlin, 1974). 이처럼 객관적 요인을 통한 행복에 대한 설명은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관적 안녕이란 개념을 통해 행복을 설명할 때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행복의 대표적인 연구자인 디너(Diener)와 벤호벤(Veenhoven)은 행복에 대한 과학적 개념화를 통해 추상적인 행복개념을 측정 가능한 것으로 만들었다(Veenhoven, 1991). 행복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대표적인 개념이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 개념이다. 이것은 삶의 행복에 미치는 객관적 요인보다 주관적인 요인을 강조한다. 삶에 대한 개인의 인식, 성격 등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특성과 같은 개인의 지각과 판단이 개입되는 주관적 요인을 강조하는 것이다(Diener, 1984). 주관적 안녕(웰빙)에 대해 디너는 삶과 긍정적 정서에 대한 만족이며 이를 흔히 사람들은 선(good)이나 신성한 것으로 정의하기도 한다고 보았다. 또한 디너는 주관적 웰빙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활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관심이라고 설명하였다(Diener, 1984; Ryan & Deci, 2001).

한편 유엔 ‘행복보고서’에서는 주관적 안녕을 자신이 삶에 대한 인지적 평가, 긍정적 정서(즐거움, 긍지 등), 부정적 정서(고통, 분노, 걱정 등)으로 나누어 보고 있다. 긍정적 정서는 정서에 관한 질문들과 유다이모니아적인 질문들(삶의 의미와 목적 등)로 구성된다(Helliwell, Layard, & Sachs, 2017/2018, 24-26쪽). 이 개념은 행복의 주관적 측면 중 쾌락, 즉 ‘hedonism’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기서 쾌락은 식욕, 자기이익 등의 웰빙에 대한 감정이다(Ryan & Deci, 2001). 반면 행복은 선의 표현에서 발견되며 가치 있는 것을 행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hedonism’과는 차이가 있다. 리프(C.D. Ryff)는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을 사용하여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아순응, 삶의 목적 차원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삶의 목적, 자아실현, 긍정적 경향 등을 중심으로 행복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심리적 안녕(웰빙)’ 개념이다. 그는 행복한 삶은 단순히 만족스럽고 좋은 기분을 느끼는 것만은 아니라고 보았다. 좋은 삶이란 사회구성원인 개인이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리프 등은 주관적 측면의 행복을 단순한 만족감보다는 삶의 목적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심리적 안녕(웰빙)에서 본 좋은 삶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이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 및 환경을 선택하고 목적을 가지고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시키려는 동기가 있는 삶이라고 할 수 있다(한민, 최인철, 김범준, 이훈진, 김경미, 류승아, 2012).

심리적 안녕은 행복을 단순히 쾌락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얻어지는 심리적 만족감을 의미한다(Ryff & Keyes, 1995; Ryff & Singer, 2000). 리프(Ryff & Keyes(1995), Ryan & Deci(2001)) 등은 주관적 측면의 행복을 단순한 만족감보다는 삶의 목적, 성장과 자아실현, 낙관적 경향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주관적 요인을 강조하는 캠벨 등의 연구(Campbell, Converse, & Rodgersm, 1976)는 인간은 행복감을 극대화하려는 욕구가 있으며 사람이 인지한 환경에 반응하며 그러한 인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 기대감,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개인이 경험하는 행복감은 자신의 주변과 삶에 대한 평가나 심리적 만족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프레이 등은 개인의 행복감은 개인적 요소(자부심, 신경증적 특성, 낙천성), 사회인구학적 요소(연령, 젠더, 교육, 결혼), 경제적 요소(소득, 고용, 인플레이션), 상황적 요소(고용상태, 업무스트레스, 인간관계, 부부관계 등), 제도적 요소(민주주의 성숙도, 정치참여정도, 시민의 참여권리)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Frey & Stutzer, 2002).2)

이와 유사하게 아마티야 센(Amartya Sen)은 유다이모니즘의 성격을 강조하여 행복을 정의하였다. 그는 역량(capability)을 기초로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삶의 질을 평가할 때 건강, 이성적 사고, 문화생활 영위 등 다양한 삶의 조건을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라이안 등도 주관적 웰빙, 즉 행복은 가치 있는 일을 행하는 것이라고 보았다(Ryan & Deci, 2001).

앞에서 보았듯이 삶의 만족도나 주관적 안녕감 등의 개념으로 행복을 연구하는 논의들은 객관적인 요인보다는 삶에 대한 인식, 성격을 비롯한 심리적, 정서적 특성 등 개인의 지각과 판단이 개입되는 주관적 요인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Diener, 1984; 김재우, 2017). 행복의 문제를 욕구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는 욕구를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구분하여 파악한다. 생존은 경제력, 주거, 건강의 문제이며, 관계는 사회, 이웃, 가족의 관계이며, 성장은 개인 성장이나 자아성취의 문제이다. 성장은 자기계발, 자립성, 긍정적 인생관, 사회봉사 등의 변수와 관련되어 있다(오민지, 이수영, 2017). 이와 유사하게 구재선과 서은국의 연구도 객관적인 소득보다 주관적 소득 인식이 행복을 더 잘 설명한다고 보았다(구재선, 서은국, 2011). 여기에서 행복은 연령이나 성별, 종교, 학력, 소득과 같은 객관적인 요인들보다는 주관적인 가치관 등을 통해 설명되고 있었다. 이러한 시각은 주관적인 계층의식이 행복에 주는 영향의 연구로 발전되었다(Clark, Frijters, & Shields, 2008, pp. 95-144.). 이 연구는 인간의 인지적인 측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즉 주관적인 인식과 인지적 측면, 그리고 행복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소득 격차에 대한 인식이나 자신의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소득 인식 사이의 격차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우, 2019; 장승진, 2011; 구교준 외, 2015). 사회자본의 신뢰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사회의 전반적인 부패 정도가 신뢰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행복 수준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한다(Welsch, 2008). 미국 사회에서도 가족과 이웃의 결속력, 공동체적 유대 등으로 측정된 사회자본이 주관적 행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elliwell & Putnam, 2004). 즉 친구, 가족, 이웃과의 일상적 교류가 많을수록 행복 수준은 상승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가족과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는 행복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한편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 모두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주관적 계층의식의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연경, 이승종, 2017). 또한 주관적 행복은 경제활동 상태, 주관적 계층 소속감, 재정 상태 이외에도 사회적 관계와 결부된 혼인 상태와 종교활동의 효과 등 개인 수준의 요인들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김재우, 2017).

그렇기 때문에 행복을 파악할 때 객관적 지표, 물질적 요인 못지않게 주관적 지표, 심리적 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친구 관계, 공동체, 종교조직 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위한 광범위한 네크워크도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McCrae, Costa Jr, & Costa, 1990; Helliwell, 2003).3)

15-29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행복도를 조사한 연구를 보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 등 객관적인 요인보다 심리적, 정서적 요인이 주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에 대한 만족이 행복 수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김지경, 2018). 그리고 청년세대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개인적, 사회적 관계적 결정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강조하기도 한다(이명숙, 2015). 경제적 요인들 강조하는 연구들은 취업스트레스, 청년실업이 청년들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과 자존감, 나아가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며 사회적 지지가 강할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행복을 증진시키고 있었다(구재선, 김의철, 2006; 이명숙, 2015).

행복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청년들의 행복이 심리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고 있다. 한국 청년들의 행복도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의미하는 자아개념이나 자아수용성, 개인적 성장, 목표 달성 및 미래에 대한 희망감 등의 심리적 기제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서봉언, 김경식, 2016; 이명숙, 2015). MZ세대(13세-39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행복에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 및 일자리 특성, 개인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결과에 의하면, 전 세대 모두 사회적 신뢰가 높고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이 양호할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이처럼 최근 행복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는 것은 다양한 배경을 갖고 있지만, 그 가운데 특히 불평등 확대와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관심과도 연관되어 있다. 이와 함께 불평등 문제를 공정성 문제와 그 인식의 문제의 차원에서 바라보는 연구들도 등장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 변수인 공정성 인식의 차원에서 행복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설명하겠다.

2) 공정성 인식과 행복

최근 공정성의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학문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한국사회의 갈등원인 분석과 정부 정책에 대한 논의에서도 공정성 문제가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제20대 한국대통령 선거에서 볼 수 있듯이 20대, 30대의 정치적 성향과 세대의 특징의 논의들을 보면 그 중심에 공정성 문제가 있다. 해외의 많은 연구들도 공정성 인식이 행복도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행복을 주관적 안녕으로 본다면 공정성 인식이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Oishi, Kesebir, & Diener, 2011, p. 1,096). 이것은 앞에서 보았듯이 물질적 차원이라는 객관적 요인보다는 주관적 인식과 의식이 행복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행복이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문제라고 한다면 공정성 인식은 주관적 인식과 판단의 문제이다. 공정성 인식은 개인의 불평등 인식,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인식, 삶의 만족도, 나아가 행복에도 결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의 행복에 대한 논의를 기초로 최근 한국사회의 행복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정성 문제나 공정성 인식문제를 중심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공정성 인식이 사회의 정의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정의는 사회구성원 전체의 행복이자 사회적 관계를 지배하는 규칙이며 이 규칙의 준수 여부가 구성원들의 행복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차하순, 2023, 16쪽).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사회 전체 영역에 영향을 주는 오늘날 사회에서는 시장논리가 평등원리를 훼손하기도 한다. 이러한 원리를 비판하는 것은 경쟁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경쟁을 통해 자원이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분배되는 점이 중요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도 공정성 인식의 특징이다(이진우, 2021). 그렇기 때문에 분배와 관련된 불평등 인식도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불평등 수준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인식할수록 행복도와 삶에 대한 만족도는 저하되기도 하였다(황선재, 계봉오, 2018). 마찬가지로 삶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 사회계층에 의해 좌우되고 주관적 안녕도 자신이 속한다고 믿는 계층 위치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김재우, 2019).4)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공정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한다. 공정성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면, 사회적 차원에서 ‘기회 공정성(예: 교육기회, 취업기회)’, ‘분배 공정성(예: 소득분배, 과세 및 납세)’, ‘조건 공정성(예: 법 집행, 여성에 대한 대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이종수, 2011; 이건, 2015; 김나연, 2020).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기회 공정성은 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제도에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의미하며, 분배 공정성은 개인들이 사회에 기여한 바에 비례하여 자원을 분배 받는가의 문제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조건 공정성은 사회적 관계를 규율하는 조건이 사회구성원들에게 공정하게 적용되는가를 의미한다. 이것은 가령 과세 및 납세가 이 공정성에 기초해 이루어지는가의 문제이다(이건, 2015).

가령 조건 공정성은 법집행의 공정성과 여성대우의 공정성의 문제로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다면 조건 공정성에 대해 성별, 세대별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윤민재, 임정재, 2022). 공정성 문제는 개인들의 주관적 체험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이것은 특히 박탈감과 그로 인한 불공정성 인식의 심화에서 영향을 받기도 한다(하상응, 2021). 또한 청년세대가 2000년대 이후 분배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시간이 흐를수록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김석호, 2018). 특히 여기에서는 취업문제, 경제상황 등 사회현상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청년세대들은 분배뿐만 아니라 기회마저도 봉쇄되고 있고 취업, 결혼, 출산 등의 진행 과정이 차단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청년세대가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미래 불확실성의 문제는 공정성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정성 인식은 주관적 계층이동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김나연, 2020).5)

세대는 청소년시기 한국사회의 주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코호트(cohort)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함인희, 2002). 세대에 관한 선행연구들(함인희, 2002; 박민진, 민보경, 이민주, 2021; 김우성, 허은정, 2007; 이현아, 김주희, 2021)의 논의를 종합하면, 베이비 붐 세대는 1954~64년생으로 한국전쟁 이후 출생률이 급증한 상황에서 태어나 청소년 시기에 유신시대, 산업화를 경험한 세대로 정의할 수 있다. X세대는 1965~79년생으로 민주화 항쟁을 경험하고, 풍요로운 경제상황에서 성장한 세대이다. M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s), 밀레니엄 세대, 에코 세대, 에코부머, Y세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며, 1980~94년생 민주화 정착 이후, 신자유주의 경제상황을 경험한 세대이다. 청소년기에 세계화를 본격적으로 경험하고 해외여행이나 서구문화를 본격적으로 접한 세대이다.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의 환경을 청년기 혹은 청소년기에 경험한 세대이자 앞선 세대에 비해 개인주의 문화가 강한 세대이다. Z세대는 1995~2003년생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고, 사회에 진출하기 전 학업 및 취업 문제를 겪고 있는 집단이기도 하다. 또한 ‘이대남, 이대녀’ 현상에서도 보듯이 페미니즘의 대두 이후 성별 갈등이 큰 세대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실제로 다른 연령집단과 비교하였을 떄 20대의 경우 더 높은 젠더갈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김기동, 정다빈, 이재묵, 2021).

세대 간 공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들은 개인들의 공정성 원칙을 현재의 시점만이 아닌 과거로부터 미래에 이르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박효민, 김석호, 2015). 또한 개인들이 위치한 상황적 배경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사회적 맥락 등과 같이 중요한 상황적 배경은 그 자체로 공정성 인식과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뿐만 아니라, 개인적 특성이 공정성 인식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Hegtvedt, 2006). 정리하자면, 세대별로 경험하는 사회적 현상 자체가 다를 수 밖에 없고, 동일한 사회적 현상을 경험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상황적 배경이 달라 세대별 공정성 인식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상술한 청년세대의 의욕과 희망상실의 경험은 이 세대가 우리사회의 공정성 문제를 다른 세대보다 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배경이 될 것이다. 또한 여성들은 이전의 ‘미투운동’, ‘데이트폭력’, ‘몰카 사건’ 등으로 인해 그들만의 젠더적 측면에서 공정성 문제를 인식하기도 한다. 이렇듯 공정성 인식은 세대별,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그들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경험에 기초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개인들을 둘러싼 구조적 환경이나 이들이 처한 미시적 차원의 문제도 공정성 인식에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적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성의 맥락이 세대별, 성별로 복잡하게 전개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복 관련 연구들은 공정성 인식을 주요변수로 고려하고 있으며, 세대별 혹은 성별 간 차별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있다. 세대별로 행복의 차이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박민진 외(2021)의 연구에서는 전체표본 분석결과 공정성 인식이 응답자의 행복 평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기성세대(베이비붐 세대, X세대)와 MZ세대는(M세대와 Z세대)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MZ세대에서만 공정성 인식 변수가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민진 외, 2021). 베이비붐 세대, X세대, MZ세대를 나누어 분석한 선행연구(김수정, 2022)에서도 MZ세대에서만 공정성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김재우(2017)의 연구에서는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세대를 구분하고 분석한 결과, 청년층과 여성의 경우 기회공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기회불평등에 대해서도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MZ세대 혹은 청년층에서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기존 연구들은 세대별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지만 MZ세대 혹은 청년층이라는 하나의 동질 집단으로 구분하는 한계가 있다. M세대와 Z세대 간의 행복을 비교하는 연구를 보면(박민진 외, 2021), M세대와 Z세대는 경제여건(54.7% vs 20.6%), 진로문제(20.8% vs 41.2%), 학업성취(0.0% vs 23.5%) 등의 차원에서 서로 다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행복 연구에서 M세대와 Z세대를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집단을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우리 사회의 사회문화적 규범과 남성과 여성이 겪는 서로 다른 경험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복 관련 요인들의 성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인정, 김미영, 2021)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M세대의 경우, Z세대와는 달리 사회생활 및 결혼, 출산, 육아 등의 생애주기적 변화를 겪는 시기이므로 성평등 인식의 중요성이 다를 수 있다(민보경, 박민진, 2023).

반면 민보경, 박민진(2023)의 연구는 상술한 연구들과는 달리 세대별·성별로 행복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취업기회 평등은 Z세대 남성에게, 소득재산 평등은 X세대 남성과 여성, M세대 남성, 그리고 Z세대 남성과 여성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고, 성별 평등은 M세대 남성과 여성, Z세대 남성에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X세대에서 Z세대로 갈수록 평등인식에 관련 변수들의 유의미성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그 표준화계수 값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각 세대별로 행복과 관련된 공정성 인식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단, 해당 선행연구에서는 장노년층 세대(베이비 부머)를 분석에 포함하지 않아 한국사회의 세대 간 차이를 밝혀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주관적·심리적 측면에서 공정성 인식과 행복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MZ세대인 청년세대로부터 촉발된 공정성 관련 논의들은 각 세대별로 공정성 인식과 의미가 상이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타 연령집단에 비해 청년세대의 경우, 행복과 관련된 심리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더 크다고 할 때, 선행연구들(김재우, 2017; 박민진 외, 2021; 김수정, 2022)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청년세대에서는 공정성 인식과 행복이 더 뚜렷한 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MZ 혹은 청년세대를 좀 더 세분화하고, 성별을 구분하는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의 관계가 세대별·성별로 어떠한 양상을 나타나는가를 파악하는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다른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본 연구는 세대별·성별 간의 차별적 맥락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된 학술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1) 분석틀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그 관계가 세대 구분과 성별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엄밀한 인과관계의 검증보다는 탐색적 측면에서 주요 변수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종속변수로는 응답자의 주관적 행복, 독립변수로는 공정성 인식을 설정하였으며, 세대별로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가 차별적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세대 구분 변수를 상호작용항으로 포함하여 분석모형에 추가하였다. 세대 구분 변수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 로 구분하였다. 이는 통계청의 세대 구분을 기준으로 4가지 집단 구분을 분석에서 사용한 선행연구(박민진 외, 2021)와 유사한 타 선행연구들(김우성, 허은정, 2007; 이현아, 김주희, 2021)의 구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더불어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 관계의 성별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남성표본과 여성표본으로 구분하여 추가분석 하였다.

다음 <그림 1>은 상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틀을 도식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그림 1>

연구의 분석틀

2) 연구자료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불평등해소정책DB구축사업단에서 실시한 2022년 불평등·공정성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당 자료는 지역별·성별·연령별 기준 비례할당을 적용하여 총 2,018명의 표본을 추출한 뒤 웹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이며, 세대 구분 기준을 바탕으로 1954년생 이전 응답자를 제거한 총 1,911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3) 변수

주요 변수들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속변수로 사용된 주관적 행복의 경우 응답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을 7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독립변수인 공정성 인식 변수의 경우, 응답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공정성을 7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대 구분의 경우, 응답자의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베이붐 세대(1954~64년생), X세대(1965~79년생), M세대(1980~94년생), Z세대(1995~2003년생)로 구분한 범주형 변수로 구성하였다.

이외에도 선행연구를 통해 공정성 인식 및 행복과 연관성이 검토된 주관적 불평등 인식 관련 변수들(경제불평등, 교육불평등)과 응답자의 주관적 특성 변수들(정치적 성향, 주관적 건강, 사회적 신뢰, 주관적계층 인식)을 비롯하여,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성별, 학력, 가구소득, 가구원 수, 거주지역, 종사상 지위, 거주 주택유형)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불평등 인식 관련 변수들(경제불평등, 교육불평등)의 경우, 주관적 행복과 연관성이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자료의 한계상 다양한 차원의 공정성의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였기에 기회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의 맥락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투입 하였다. 가구소득의 경우 연속형 변수로 간주하여 사용하였고, 이외의 범주형 변수들은 가변수(dummy variable)로 변환하여 분석모형에 투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문항과 척도를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

4)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 그리고 세대와 성별에 따른 관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분석대상을 전체표본과 남·녀표본으로 구분하여, 각 표본별로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변수들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가 세대구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세대 구분 더미 변수 각각과 공정성 인식 변수 간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하고 전체표본과 남·녀표본에서 그 유의미성을 확인한다. 모든 분석은 STATA 17 MP를 사용하였다.


4. 분석결과

1) 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확인

먼저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을 각 표본 별로 확인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연속형 변수들의 경우 평균과 표준편차를 범주형 변수들의 경우 비율(%)을 산출하였다. 각 남·녀 표본 별 평균 및 비율의 차이는 교차분석(chi-squared test)와 t검정(t-test)을 이용하였다.

변수들의 기술통계

공정성 인식 변수들의 경우, 전체 표본은 평균이 3.26, 남성표본은 평균이 3.22, 여성표본은 평균이 3.30으로 나타났다. 여성표본의 평균값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세대 구분의 경우, 전체표본의 경우 X세대가 31.71%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으며, 베이비붐세대 28.94%, M세대 26.11%, Z세대 13.24%로 확인되었다. 남성표본의 경우 X세대 32.98%, 베이비붐 세대 26.53%, M세대 26.32%, Z세대 14.16%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여성표본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 31.30%, X세대 30.47%, M세대 25.91%, Z세대 12.3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통제변수들 중, 가구소득(p<0.01), 종사상지위(p<0.001), 정치적 성향(p<0.001), 사회적 신뢰(p<0.01)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남·녀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 중 종사상 지위의 경우, 상용직임금근로자(남성 62.05%, 여성 37.82%), 학생/주부(남성 8.77%, 여성 41.35%) 집단에서 큰 비율의 차이가 확인되었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음 <표 3>은 각 표본별로 세대별·성별 행복의 평균 값을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p<0.001)과 여성표본(p<0.05)의 경우 적어도 한 집단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Scheffe 사후 검증 결과, 두 표본 모두 베이비붐 세대와 M세대의 행복도 평균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대별·성별 주관적 행복 평균

다음 <표 4>는 공정성 인식, 주관적 행복, 세대 구분 변수, 그리고 선행연구들에서 공정성 인식 및 주관적 행복과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논의되어 통제변수로 사용된 주요 주관적·심리적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확인한 결과이다. 주관적 행복의 경우, 공정성 인식, 베이비붐세대, M세대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상관관계 계수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다중회귀분석결과를 왜곡할만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유의미한 변수 조합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실제로 분석 후 변수들의 VIF(Variance Inflation Factor)값을 산출한 결과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6)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n=1,911

2)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음 <표 5>는 전체표본, 남·녀 표본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각 모형은 주요 통제변수를 투입한 상태에서 응답자의 공정성 인식 및 세대 구분 변수들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이다.

주관적 행복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분석결과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표본을 대상으로한 모형(1)에서 공정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관적 행복과 세대 구분 변수의 경우, X세대, M세대, Z세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주관적 행복 정도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통제변수들을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종사상지위가 학생/주부 및 무직의 경우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정치적 성향이 진보인 경우 중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 사회적 신뢰, 주관적 계층인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구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남성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모형(2)의 경우 공정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세대 구분 변수의 경우, 참조집단인 베이비붐 세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통제변수들을 살펴보면, 종사상 지위가 무직인 경우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정치적 성향이 진보인 경우 중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 사회적 신뢰,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구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비해, 교육불평등 인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모형3의 경우, 전체표본, 남성표본 분석결과와 동일하게 공정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대 구분의 경우 전체표본 분석결과와 동일하게 X세대, M세대, Z세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주관적 행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들을 살펴보면, 종사상 지위가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인 경우, 학생/주부인 경우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 사회적 신뢰,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6>은 앞선 <표 5>의 전체표본, 남·녀 표본 분석결과에 공정성 인식과 세대구분 변수 간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모형이다. 분석결과 모형(1) 전체표본과 모형(2) 남성표본에서는 공정성 인식과 Z세대 간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3) 여성표본에서는 공정성 인식과 Z세대 간의 상호작용 항 뿐만 아니라, M세대와의 상호작용 항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의 분석결과에서 공정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그 회귀계수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면, <표 6>에서 확인된 유의미한 상호작용 항들의 경우, 회귀계수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공정성 인식과 세대구분 변수 간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러한 맥락을 도식화 하면 다음 <그림 2>, <그림 3>, <그림 4>와 같다. 각 그림은 <표 6>의 표본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정성 인식에 따른 주관적 행복의 변화량이 세대 구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95% 신뢰구간과 함께 표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가 세대별·성별 맥락에 따라 차별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림 2>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전체표본, 95% 신뢰구간)

<그림 3>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남성표본, 95% 신뢰구간)

<그림 4>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여성표본, 95% 신뢰구간)

전체표본 분석결과인 <그림 2>를 통해 Z세대 집단의 경우, 공정성 인식에 따른 주관적 행복의 변화량의 정도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가파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림 3> 남성표본 분석결과 기울기가 완만한 다른 집단과는 달리 Z세대가 상대적으로 가파른 기울기를 보였으며, <그림 4> 여성표본 분석결과의 경우 M세대, Z세대 모두 유사한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7)


5. 결론 및 토의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인식을 행복과 연관된 중요한 요인으로써 주목하여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2022년 대통령 선거 전후를 기점으로 20, 30대 남녀 청년세대를 둘러싼 공정성의 논의가 중요한 관심을 받고 있음을 고려하여, 공정성 인식과 행복의 관계가 세대별·성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정성 인식의 경우 모든 모형(전체 응답자, 남성/여성 응답자)에서 행복과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었는데,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구분의 경우. 전체 및 여성표본에서 세대별 주관적 행복의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단순히 평균 차이만을 확인하였을 때(<표 3>)와는 달리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경우(<표 5>) 베이비 붐 세대와 다른 세대들 간의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드러났다.

공정성 인식과 세대 구분의 상호작용 항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 표본과 남성 표본에서는 공정성 인식과 Z세대 간의 상호작용 항이, 여성 표본에서는 M세대 및 Z세대 간의 상호작용 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상호작용항이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으므로 모든 세대 간 차별적인 관계가 드러난 것은 아니었으나 공통적으로 Z세대를 중심으로 부분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성 인식이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 미치고 있다는 기존 선행 연구들(김재우, 2019; 엄승범, 김재우, 2021; Oishi et al., 2011), 더 나아가 그 영향력이 연령집단별로 상이할 수 있다는 기존 선행연구들(박민진 외, 2021; 민보경, 박민진, 2023)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만 <표 5>의 분석결과에서 공정성 인식의 회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아 실질적인 중요성(practical significance)에 관한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었으나 공정성 인식과 세대 간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표 6>, <그림 2>, <그림 3>, <그림 4>에서 세대별 차별적인 양상과 함께 공정성 인식과 행복 간의 관계가 더욱더 선명하게 드러났다. 즉, 한국 사회에서 공정성과 행복의 관계를 면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별·세대별 맥락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최근 청년세대에게 있어서 공정성의 가치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대남 현상’으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은 청년 남성집단(Z세대) 뿐만 아니라, 청년 여성집단(M세대, Z세대)에서도 동일하게 공정성 인식의 중요성이 큰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에게서는 M세대와 Z세대 모두 베이비붐 세대와 비교하여 차별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낮은 연령층의 세대(M세대→Z세대)로 갈수록 그 기울기가 더 가파른 것에도 눈에 띄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민보경, 박민진(2023)의 연구결과에서는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향성이 세대효과인지 연령효과인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추후 연구들을 통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경향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대별·성별 집단 별로 공정성 유형이 상이함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종수의 연구(2011), 조동현·권혁용의 연구(2016), 윤민재·임정재의 연구(2022) 등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공정성에 대한 문제는 개인이 놓여 있는 집단적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되었다. 따라서 공정성을 여러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사용한 선행연구(이건, 2015; 김나연, 2020; 윤민재, 임정재, 2022)와 행복에 관한 선행연구결과(민보경, 박민진, 2023)에 비춰볼 때, Z세대 남성에게서만 차별적인 관계가 뚜렷하게 드러난 본 연구결과는 성별-세대 갈등에 동시에 노출된 상황에서 기회공정성, 조건공정성, 분배공정성의 맥락이 모두 중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청년세대 여성은 교육적 성취와 취업기회 이외에도 육아 및 가사 등 사적 영역에서의 불공정성을 함께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정고운, 정우연, 2020.3.23.) M세대·Z세대 여성 집단이 유사한 패턴을 보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취업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Z세대의 경우 기회공정성(교육기회, 취업기회)이나 분배공정성(소득분배)의 맥락이 더 반영되었고, 결혼, 출산, 육아 등의 생애주기적 변화를 겪는 M세대(민보경, 박민진, 2023)의 경우 조건공정성(성평등)의 맥락이 상대적으로 더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탐색적 연구의 한계상 분석결과의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연구에서 이를 고려한다면 면밀한 맥락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통제변수로 사용된 변수들 중 사회인구학적 변수의 경우 여성일수록 남성에 비해 주관적 행복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표본과 전체표본에서 거주지역과 정치적 성향(진보 성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주관적 건강과 사회적 신뢰, 주관적 계층의식의 경우 모든 표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주관적 행복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남성표본에서 교육불평등 인식과 주관적 행복 간의 부적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안녕의 관점에서 응답자들의 객관적 특성들보다 주관적 특성들이 행복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기존 선행연구(서봉언, 김경식, 2016; 김재우, 2017; 이연경, 이승종, 2017; 박민진, 민보경, 이민주, 2021; Helliwell, 2003)들과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남성표본에서 교육불평등 인식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기회공정성의 맥락에서 행복과 연관되어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직접적인 분석 내용이 아니므로 추후 연구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전체표본에서 학생/주부, 남성표본에서는 무직, 여성표본에서는 임시일용직, 학생/주부가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종사상 지위나 고용여부, 직업위세 등의 경우, 각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였으며(이양호, 지은주, 권혁용, 2013; 신승배, 2015; 조동현, 권혁용, 2016), 학생/주부, 무직 집단의 주관적 행복이 상대적으로 낮거나(박민진 외, 2021), 높게 나타나는 등(이민아, 송리라, 2014; 김재우, 2017) 상반된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는 주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간의 연관성에 의해 나타난 결과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이민아, 송리라, 2014), 종사상 지위 및 교육수준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20~30대의 경우, 취업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뿐만 아니라, 젠더 갈등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과정에서 겪게 되는 상대적 박탈감과 미래의 불확실성이 공정성을 통해 행복감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청년세대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해결 과정과 사회정책 수립 시 공정성의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대중매체, 언론, 소셜미디어, 마케팅, 광고 등에서 MZ세대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 M세대와 Z세대는 세대-성별로 상이한 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M세대와 Z세대를 하나의 집단으로 범주화하기에는 연령 범위의 차이가 커 같은 코호트로 간주하는 것은 무리이다. 또한 사회적 사건을 경험하고 수용하는 방식과 내용도 상이하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설명할 때, 20·30대를 MZ세대로 통칭하여 일반화 하는 것을 지양하여야 하며, 학술적으로는 보다 엄밀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공정성 인식과 행복의 관계가 세대별로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세대효과의 경우 연령·기간·세대의 개념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데(이왕원, 김문조, 최율, 2016; 주익현, 심상렬, 2021), 본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의 한계로 인해 이를 면밀하게 분해하지 못한 것은 추후 연구에서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수집한 횡단면 자료를 일반적인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자료의 대표성과 엄밀한 인과관계 검증의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 선행연구들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던 공정성의 유형들, 예컨대 기회 공정성, 조건 공정성, 분배 공정성과 같은 분류를 자료에 포함하지 않아, 공정성을 좀 더 세분화된 분류로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도 있다. 한편, 응답자의 혼인상태 변수 또한 자료에 포함되지 못하여 통제변수로 설정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종사상 지위나 교육수준과 주관적 행복 간의 추가적인 논의와 분석을 연구범위에 포함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들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2S1A5C2A02093658).

Notes
1) 한국의 행복불평등이 국민총행복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비교조사를 보면 노인집단과 자영업자 층에서 행복의 취약성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사회적 고립은 행복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김성아, 2022).
2) 한편 행복은 삶의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각들도 있다. 김경근의 연구(2009)는 객관적 측면의 삶은 소득, 의식주 상태, 교육수준 등과 같은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는 삶의 기회와 생활양식에 영향을 주고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적 태도에도 영향을 준다(Kriesberg, 1963, pp. 334-353). 이와는 달리 구조적인 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미미하지 않다고 볼 수도 있다. 한국사회의 1인 가구 증가, 저출산 등의 인구학적 구조변동은 한국인의 행복감을 증가하는 것을 방해하는 구조적 요인이 될 수 있다. 가족을 중시하고 가족관계에서 생겨나는 경험에서 행복을 느끼는 기회가 점차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유석, 2018). 이와 유사하게 사회적 관계를 강조하는 한준·김석호·하상응·신인철의 연구(2014)는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토대로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과 그들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이웃들의 수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빈곤하지 않은 청년들은 유사가족적 지지망을 통해 빈곤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며 행복감을 느끼고, 가족중심적 태도는 빈곤 청년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이순미, 2018). 이러한 문제들은 정부의 개입을 요구한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다수의 국민에게 좋은 영향을 미쳐 그들의 행복 수준이 올라간다면 정부는 행복을 높일 수 있는 정부 정책을 개발하고 공공서비스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유두호, 엄영호, 윤선일, 2021, 302쪽).
3) 반면 사회경제적 지위와 이에 대한 인식 모두 행복감에 영향을 준다는 시각도 있다(신승배, 2015). KGSS 8차 자료를 활용한 한국청년세대를 연구에 의하면 자원결핍 및 불확실성, 통제 권한의 부재 등이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 가운데 통제 권한의 부재가 청년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승헌, 임다혜, 강민아, 2017).
4) 한 사회가 공정하고 올바르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판가름 하는 공정성은 구성원들 간의 “긍정적 감정과 협력, 규범의 준수 등을 일으키는 요소로서 집단의 안정과 지속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공정성 인식은 개인들의 소득수준이 아니라 주관적 체험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 인식은 특히 박탈감과 그로 인한 불공정성 인식의 심화에서 영향을 받기도 한다(하상응, 2021). 상대적 박탈감이 클수록 다양한 부분의 신뢰가 하락할 수밖에 없고 일상에서 걱정, 두려움, 스트레스, 분노 등을 겪게 된다. 그리고 분배가 공정하지 않은 경우 사람들은 감정적인 괴로움을 느끼며, 과소분배일 경우 분노, 실망을 느끼게 된다.
5) 공정성이 붕괴된 사회에서 사회성원들은 일할 의욕도 상실하게 되고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희망을 갖기도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Katz, Ogilvie, Shaw, & Woodhead, 2021/2023, 137쪽).
6) 독자가 요청할 경우, VIF결과를 독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을 밝힌다.
7) 공정성과 X세대 간의 상호작용 항도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는데, 실제로 상호작용항은 p<0.1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References

  • 곽연선 (2023). <번아웃 세대>. 서울: 스리체어스.
  • 구교준·임재영·최슬기 (2015). 행복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부학연구>, 21(2), 95-130.
  • 구재선·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 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12(2), 77-100.
  • 구재선·서은국 (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25(2), 143-166.
  • 김경근 (2009). 교육과 삶의 질, 한국의 사회동향과 삶의 질, <한국사회학회 특별심포지움 발표집>, 71-11.
  • 김기동·정다빈·이재묵 (2021).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한국정치학회보>, 55(4), 5-42.
  • 김나연 (2020). 공정성 인식이 주관적 계층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2018 서울서베이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15(1), 1-27.
  • 김석호 (2018). 한국 사회의 세대간 공정성. <지식의 지평>, 25, 1-19.
  • 김성아 (2022). 국제비교로 보는 한국인의 행복. <보건복지 ISSUE & FOCUS>, 419, 1-8.
  • 김수정 (2022). 세대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세대, X 세대, 그리고 MZ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1), 29-58.
  • 김우성·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 김재우 (2017). 한국인과 일본인의 주관적 행복: 생애주기별 결정요인 비교. <한국사회학>, 51(4), 1-46.
  • 김재우 (2019).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 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행정논총>, 57(4), 97-127.
  • 김지경 (2018). 청년세대 삶의 인식수준과 행복도의 영향요인. <한국사회정책>, 25(3), 209-245.
  • 김진욱·임현·최영준·김진 (2021). <행복의 정치>. 서울: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
  • 민보경·박민진 (2023). 미래세대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세대별,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행적학보>, 26(1), 127-146.
  • 박민진·민보경·이민주 (2021). 미래세대의 행복과 영향 요인 연구: MZ 세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4(4), 121-147.
  • 박재령 (2022.11.29). 10대 아이돌부터 40대 부모까지 MZ? 카오스에 빠진 MZ활용법. 미디어오늘.
  • 박효민·김석호 (2015). 공정성 이론의 다차원성. <사회와 이론>, 27, 219-260.
  • 서봉언·김경식 (2016). 한국 청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6(3), 91-115.
  • 송유근 (2022.10.28). 우울한 청춘… ‘자해 시도’ 36%가 2030, 문화일보, 3.
  • 송한나 (2022.3.26). Z세대 61% “M·Z세대 묶는 것 부적절” ... MZ세대 구분, 출생연도보다 특성으로, 한국일보, 16.
  • 신승배 (2015). 한국인의 행복감 결정 요인. <사회과학연구>, 41(2), 183-208.
  • 엄승범·김재우 (2021).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간 의 관계. <한국사회>, 22(1), 3-46.
  • 오민지·이수영 (2017). 행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lderfer의 E.R.G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9(3), 489-508.
  • 우성대 (2014). 행복의 정치경제학을 위한 연구: 웰빙과 삶의 질, 그리고 행복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73, 291-316.
  • 유두호·엄영호·윤선일 (2021). 정부의 공정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정부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4), 297-319.
  • 윤민재·임정재 (2022). 한국사회의 불평등 인식과 공정성: 연령대별·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12(1), 40-80.
  • 이건 (2015). 사회갈등 해소 기제로서의 공정성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4), 27-51.
  • 이대희 (2022. 9. 27). 10~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한국 자살률 OECD 부동의 1위. 프레시안.
  • 이명숙 (2015). 청년세대의 행복감과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건강, 사회적 지지, 삶의 기대요인의 상대적 영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2(7), 179-199.
  • 이민아·송리라 (2014). 소득 물질주의와 행복의 관계. <한국인구학>, 37(4), 89-114.
  • 이순미 (2018). 지방 중소도시 청년들의 다차원적 빈곤과 행복의 역설. <한국사회학>, 52(4), 243-293.
  • 이양호·지은주·권혁용 (2013). 불평등과 행복. <한국정치학회보>, 47(3), 25-43.
  • 이연경·이승종 (2017). 사회계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5(1), 1-39.
  • 이왕원·김문조·최율 (2016).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한국사회학>, 50(5), 247-284.
  • 이인정·김미영 (2021). 1인 가구 청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7), 51-60.
  • 이종수 (2011). 지역사회 내의 공정성 제고와 지방정부의 역할. <지방행정연구>, 50(5), 15-34.
  • 이진우 (2021). <불공정사회>. 서울: 휴머니스트.
  • 이현아·김주희 (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 장승진 (2011). 행복의 정치경제학: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한국정당학회보>, 10(2), 43-66.
  • 정고운·정우연 (2020.3.23). <2020 대한민국 불공정 리포트>女, ‘사적 영역’ 불공정 피부로 체감… 男, ‘공적 제도’에서 역차별 불만, 문화일보.
  • 조동현·권혁용 (2016). 무엇이 한국인을 불행하게 만드는가?: 소득불평등, 기회불평등, 그리고 행복의 균열구조. <OUGHTOPIA>, 31(1), 5-39.
  • 주익현·심상렬 (2021). 전쟁위기감에 대한 연령·시대·세대 효과 분해. <공공사회연구>, 11(1), 151-179.
  • 차하순 (2023). <형평의 연구>. 서울: 탐구당.
  • 최유석 (2018). 행복불평등: 행복의 분산과 관련 요인. <한국인구학>, 41(4), 39-64.
  • 하상응 (2021). 공정성과 국가의 역할. 김석호 외.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서울: 시공사, 118-148.
  • 한민·최인철·김범준·이훈진·김경미·류승아 (2012).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 타 연령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5), 217-235.
  • 한승헌·임다혜·강민아 (2017).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과 행복: 불확실성과 통제권한 부재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정책>, 24(2), 87-126.
  • 한준·김석호·하상응·신인철 (2014).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 48(5), 1-24.
  • 함인희(2002).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 임희섭 외 저,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215-248쪽) 서울: 나남출판.
  • 황선재·계봉오 (2018).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41(4), 65-88.
  • Aristoteles. Ethica nicomachea. 천병희 역 (2013).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숲.
  •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Y: Russell Sage Foundation.
  • Clark, A. E., Frijters, P., & Shields, M. A. (2008). Relative income, happiness, and utility: An explanation for the Easterlin paradox and other puzzle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6(1), 95-144. [https://doi.org/10.1257/jel.46.1.95]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Easterlin, R. A. (1974).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In P. A. David & M. W. Reder (Eds.),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pp. 89-125). NY: Academic press. [https://doi.org/10.1016/B978-0-12-205050-3.50008-7]
  • Frey, B. S., & Stutzer, A. (2002). Happiness and economics. In B. S. Frey & A. Stutzer(eds), Happiness and Economics: How the Economy and Institutions Affect Human Well-Being.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1400829262]
  • Hegtvedt, Karen A. (2006). Justice Frame works. in P. Burke(eds), Contemporary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0804768047-005]
  • Helliwell, J. F. (2003).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Modelling, 20(2), 331-360. [https://doi.org/10.1016/S0264-9993(02)00057-3]
  • Helliwell, J. F., & Putnam, R. D.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9(1449), 1435-1446. [https://doi.org/10.1098/rstb.2004.1522]
  • Helliwell, J. F., Layard, R., & Sachs, J. (2017). World Happiness Report 2017. NY: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우성대 외 역(2018). <행복국가론>, 부산: 간디서원.
  • Katz, R., Ogilvie, S., Shaw, J., & Woodhead, L. (2021). Gen Z, E explained: The art of living in a digital age. 송예슬 역 (2023).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경기: 문학동네. [https://doi.org/10.7208/chicago/9780226814988.001.0001]
  • Kriesberg, L. (196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Rank and Behavior. Social Problems, 10(4), 334-353. [https://doi.org/10.2307/799205]
  • McCrae, R. R., Costa Jr, P. T., & Costa, P. T. (1990). Personality in adulthood. NY: Guilford Press.
  • Oishi, S., Kesebir, S., & Diener, E. (2011).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Psychological Science, 22(9), 1095-1100. [https://doi.org/10.1177/0956797611417262]
  •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141-16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 Ryff, C. D., & Keyes, C. L. M. (1995).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 Lif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69, 719-727.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 Ryff, C. D., & Singer, B. (2000). Interpersonal flourishing: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1), 30-44.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401_4]
  •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 Welsch, Heinz (2008). The Social Costs of Civil Conflict: Evidence from Surveys of Happiness. Kyklos, 61(2), 320-340. [https://doi.org/10.1111/j.1467-6435.2008.00404.x]

<그림 1>

<그림 1>
연구의 분석틀

<그림 2>

<그림 2>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전체표본, 95% 신뢰구간)

<그림 3>

<그림 3>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남성표본, 95% 신뢰구간)

<그림 4>

<그림 4>
세대 구분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한계효과(여성표본, 95% 신뢰구간)

<표 1>

분석에 사용된 변수

구분 변수명 구성
종속변수 주관적 행복 Q.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귀하는 어느 정도 행복하다고 생각하십니까?
A. 전혀 행복하지 않다 (1점) ~ 보통(4점) ~ 매우 행복하다(7점)
독립변수 공정성 인식 Q. 귀하는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얼마나 공정한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A. 매우 불공정하다(1점) ~ 보통(4점) ~ 매우 공정하다(7점)
세대 구분 베이비붐 세대(1954~64년생), X세대(1965~79년생), M세대(1980~94년생), Z세대(1995~2003년생)
통제변수 성별 남, 녀
학력 고졸이하, 전문대/대졸, 대학원졸 이상
가구소득 월 200만원 미만, 월 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
… 월 900 만원 이상 ~ 1000만원 미만, 월 1,000만원 이상(총10집단 구분)
가구원수 1인~6인이상
거주지역 시, 군, 구
종사상 지위 상용직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특수/기타, 학생/주부, 무직
주택 유형 자가, 전세, 월세, 공공임대주택
정치적 성향 진보, 중도, 보수
주관적 건강 Q. 평소 귀하의 건강 상태는 어떤 편이라고 생각하십니까?(신체건강)
A. 매우 나쁘다(1점) ~ 보통(4점) ~ 매우 좋다(7점)
사회적 신뢰 Q. 귀하는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A.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1점) ~ 보통(4점) ~ 매우 신뢰한다(7점)
주관적 계층인식 Q. 귀하는 우리 사회에서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 낮다(아래)(1점) ~ 높다(위)(7점)
경제불평등 인식 Q. 귀하는 우리 사회의 경제적 양극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전혀 심각하지 않다(1점) ~ 보통(4점) ~ 매우 심각하다(7점)
교육불평등 인식 Q1. 소득계층 간 교육 격차 심화(영어유치원, 비싼 등록금, 사교육비 등 교육비 부담)
Q2. 지역 간 교육 격차 심화(대도시와 농어촌, 수도권과 비수도권 등)
A. 전혀 심각하지 않다(1점) ~ 보통(4점) ~ 매우 심각하다(7점)
※ 두 응답의 평균값

<표 2>

변수들의 기술통계

구분 전체표본 남성표본 여성표본 chi² 혹은 t
n 평균 혹은 비율 n 평균 혹은 비율 n 평균 혹은 비율
주: 평균의 경우 괄호 안은 표준편차를 의미, *p<0.05, **p<0.01, ***p<0.001
주관적 행복 1,911 4.47(1.22) 946 4.36(1.25) 965 4.57(1.18) -3.88***
공정성 인식 1,911 3.26(1.16) 946 3.22(1.20) 965 3.30(1.11) -1.50
세대구분 베이비붐세대 553 28.94% 251 26.53% 302 31.30% 5.94
X세대 606 31.71% 312 32.98% 294 30.47%
M세대 499 26.11% 249 26.32% 250 25.91%
Z세대 253 13.24% 134 14.16% 119 12.33%
성별 946 49.50% - - - - -
965 50.50% - - - -
학력 고졸 이하 515 26.95% 216 22.83% 299 30.98% 25.45***
전문대/대졸 1,165 60.96% 588 62.16% 577 59.79%
대학원졸 이상 231 12.09% 142 15.01% 89 9.22%
가구소득 1,911 4.29(2.41) 946 4.43(2.42) 965 4.15(2.39) 2.63**
가구원 수 1,911 3.00(1.18) 946 3.05(1.17) 965 2.95(1.19) 1.70
거주지역 1,544 80.80% 756 79.92% 788 81.66% 0.95
88 4.60% 45 4.76% 43 4.46%
279 14.60% 145 15.33% 134 13.89%
종사상지위 상용직 임금근로자 952 49.82% 587 62.05% 365 37.82% 280.45***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 101 5.29% 51 5.39% 50 5.18%
비임금근로자 184 9.63% 111 11.73% 73 7.56%
특수/기타 56 2.93% 25 2.64% 31 3.21%
학생/주부 482 25.22% 83 8.77% 399 41.35%
무직 136 7.12% 89 9.41% 47 4.87%
주택유형 자가 1,293 67.66% 632 66.81% 661 68.50% 2.14
전세 325 17.01% 166 17.55% 159 16.48%
월세 229 11.98% 120 12.68% 109 11.30%
공공임대주택 64 3.35% 28 2.96% 36 3.73%
정치적성향 중도 672 35.16% 300 31.71% 372 38.55% 14.28***
진보 590 30.87% 289 30.55% 301 31.19%
보수 649 33.96% 357 37.74% 292 30.26%
주관적 건강 1,911 4.53(1.38) 946 4.58(1.38) 965 4.48(1.38) 1.61
사회적 신뢰 1,911 4.07(1.24) 946 3.98(1.32) 965 4.16(1.15) -3.12**
주관적 계층인식 1,911 3.53(1.25) 946 3.52(1.29) 965 3.55(1.21) -0.44
경제불평등 인식 1,911 5.53(1.26) 946 5.52(1.32) 965 5.54(1.20) -0.38
교육불평등 인식 1,911 5.64(1.21) 946 5.60(1.24) 965 5.67(1.78) -1.21

<표 3>

세대별·성별 주관적 행복 평균

구분 전체표본 남성표본 여성표본
평균 표준편차 n 평균 표준편차 n 평균 표준편차 n
주: *p<0.05, **p<0.01, ***p<0.001
베이비붐 세대 4.63 1.12 553 4.53 1.17 251 4.72 1.07 302
X세대 4.44 1.19 606 4.30 1.21 312 4.59 1.16 294
M세대 4.33 1.28 499 4.25 1.29 249 4.41 1.26 250
Z세대 4.42 1.33 253 4.34 1.40 134 4.50 1.25 119
전체 4.47 1.22 1,911 4.36 1.25 946 4.57 1.18 965
F값 5.80*** 2.46 3.32*
Scheffe사후검증 결과 베이비붐 세대>M세대*** 베이비붐 세대>M세대*

<표 4>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n=1,911

구분 주관적행복 공정성인식 베이비붐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 정치적성향 주관적건강 사회적신뢰 주관적계층인식 경제불평등인식
주: *p<0.05, **p<0.01, ***p<0.001
공정성인식 0.332*** 1.000
베이비붐세대 0.089*** -0.019 1.000
X세대 -0.014 0.014 -0.435*** 1.000
M세대 -0.065** -0.008 -0.379*** -0.405*** 1.000
Z세대 -0.016 0.016 -0.249*** -0.266*** -0.232*** 1.000
정치적성향 0.111*** 0.038 0.050* -0.004 -0.026 -0.028 1.000
주관적건강 0.406*** 0.176*** -0.048* -0.047* 0.044 0.073** 0.122*** 1.000
사회적신뢰 0.460*** 0.481*** 0.025 0.021 -0.018 -0.039 0.042 0.222*** 1.000
주관적계층인식 0.473*** 0.256*** 0.031 0.017 -0.055* 0.007 0.134*** 0.304*** 0.304*** 1.000
경제불평등인식 -0.115*** -0.218*** -0.004 0.005 0.023 -0.031 -0.007 -0.040 -0.123*** -0.161*** 1.000
교육불평등인식 -0.099*** -0.161*** -0.004 0.071** -0.014 -0.074** -0.010 -0.003 -0.082*** -0.160*** 0.320***

<표 5>

주관적 행복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구분 모형1(전체표본) 모형2(남성표본) 모형3(여성표본)
주: *p<0.05, **p<0.01, ***p<0.001
공정성 인식 0.085*** 0.022 0.060* 0.031 0.106*** 0.032
세대 구분 (ref:베이비붐세대) X세대 -0.176** 0.059 -0.163 0.083 -0.171* 0.086
M세대 -0.228*** 0.063 -0.133 0.088 -0.283** 0.093
Z세대 -0.296*** 0.078 -0.189 0.138 -0.305** 0.116
여성(ref: 남성) 0.139** 0.047
학력 (ref고졸 이하) 전문대/대졸 0.028 0.055 0.063 0.083 0.000 0.074
대학원졸 이상 0.038 0.082 0.166 0.113 -0.114 0.122
가구소득 0.014 0.010 0.014 0.015 0.012 0.015
가구원 수 0.037 0.021 0.059* 0.030 0.017 0.030
거주지역(ref: 시) -0.067 0.104 -0.001 0.146 -0.143 0.152
-0.153* 0.062 -0.257** 0.085 -0.043 0.089
종사상지위(ref: 상용직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 0.096 0.100 -0.079 0.141 0.316* 0.145
비임금근로자 0.058 0.078 0.110 0.099 0.011 0.126
특수/기타 0.162 0.131 0.162 0.193 0.210 0.181
학생/주부 0.176** 0.063 0.105 0.162 0.175* 0.077
무직 0.264** 0.090 0.323** 0.114 0.216 0.153
주택 유형(ref: 자가) 전세 -0.038 0.060 0.099 0.083 -0.169 0.087
월세 -0.067 0.071 -0.023 0.098 -0.087 0.104
공공임대주택 -0.028 0.124 -0.052 0.185 -0.032 0.168
정치적 성향(ref: 중도) 진보 0.138* 0.055 0.196* 0.080 0.107 0.076
보수 0.087 0.053 0.127 0.075 0.046 0.076
주관적 건강 0.224*** 0.017 0.259*** 0.023 0.195*** 0.024
사회적 신뢰 0.260*** 0.021 0.271*** 0.028 0.258*** 0.030
주관적 계층인식 0.260*** 0.021 0.278*** 0.029 0.245*** 0.030
경제불평등 인식 -0.006 0.018 0.008 0.025 -0.022 0.028
교육불평등 인식 -0.028 0.019 -0.067* 0.027 0.007 0.028
상수 1.165*** 0.194 0.922*** 0.271 1.458*** 0.281
n 1911 946 965
0.417 0.468 0.373

<표 6>

공정성 인식과 세대구분 변수 간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구분 모형1(전체표본) 모형2(남성표본) 모형3(여성표본)
계수 표준오차 계수 표준오차 계수 표준오차
주: *p<0.05, **p<0.01, ***p<0.001
공정성 인식 0.002 0.037 0.014 0.052 -0.006 0.052
세대 구분 (ref:베이비붐세대) X세대 -0.434** 0.167 -0.204 0.228 -0.615* 0.250
M세대 -0.480** 0.173 -0.169 0.236 -0.809** 0.256
Z세대 -1.128*** 0.211 -0.977** 0.296 -1.002** 0.324
여성(ref: 남성) 0.142** 0.047
학력 (ref고졸 이하) 전문대/대졸 0.023 0.055 0.070 0.083 -0.008 0.074
대학원졸 이상 0.032 0.081 0.170 0.112 -0.123 0.122
가구소득 0.015 0.010 0.015 0.015 0.013 0.015
가구원 수 0.035 0.021 0.057 0.030 0.017 0.030
거주지역(ref: 시) -0.071 0.104 -0.011 0.146 -0.152 0.151
-0.161** 0.061 -0.260** 0.085 -0.061 0.089
종사상지위(ref: 상용직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 0.092 0.100 -0.082 0.140 0.307* 0.145
비임금근로자 0.051 0.077 0.100 0.098 0.009 0.126
특수/기타 0.152 0.130 0.139 0.193 0.211 0.181
학생/주부 0.169** 0.063 0.100 0.161 0.164* 0.077
무직 0.260** 0.090 0.295** 0.114 0.235 0.153
주택 유형(ref: 자가) 전세 -0.042 0.060 0.080 0.083 -0.164 0.087
월세 -0.074 0.071 -0.023 0.098 -0.091 0.104
공공임대주택 -0.025 0.123 -0.042 0.184 -0.039 0.168
정치적 성향(ref: 중도) 진보 0.140* 0.055 0.185* 0.080 0.113 0.076
보수 0.084 0.053 0.118 0.075 0.042 0.076
주관적 건강 0.220*** 0.017 0.252*** 0.023 0.192*** 0.024
사회적 신뢰 0.265*** 0.020 0.277*** 0.028 0.262*** 0.030
주관적 계층인식 0.260*** 0.021 0.275*** 0.029 0.245*** 0.031
경제불평등 인식 -0.006 0.018 0.007 0.025 -0.023 0.028
교육불평등 인식 -0.028 0.019 -0.069* 0.027 0.008 0.028
상호작용 항(ref: 공정성 인식×베이비붐 세대) 공정성 인식×X세대 0.080 0.048 0.012 0.067 0.136 0.071
공정성 인식×M세대 0.078 0.050 0.009 0.069 0.161* 0.072
공정성 인식×Z세대 0.255*** 0.060 0.238** 0.080 0.214* 0.093
상수 1.449*** 0.217 1.117*** 0.305 1.827*** 0.313
n 1911 946 965
0.422 0.474 0.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