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거점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의 필요성과 정책제안에 관한 연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4차 국가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따른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을 신규로 수립하고자 하였으며, 천안시 도서관의 미래 비전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안시 환경 진단 및 분석, 시민, 전문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결과를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정책과제 및 대응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도서관의 비전, 목표를 제안했으며, 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추진전략을 ①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 ②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③ 미래를 준비하는 전문성 강화, ④ 경계를 넘는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과제 및 실행과제는 4대 추진전략 아래 10개 정책과제, 26개 실행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a new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libraries in Cheonan City (2024-2028) following the Fourth National Library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and to present the future vis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heonan City libraries.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n environmental diagnosis and analysis of Cheonan City, and analyzed survey results from citizens, experts, and staff. Based on this, we have presented policy tasks and response strategies for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Moreover,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vision and goals for Cheonan City libraries and suggested four major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achieve these goals: 1) providing library services that practice socio-inclusion, 2) creating an unbiased library environment accessible to everyone, 3) enhancing professionalism for future readiness, and 4) activating a cooperative network beyond boundaries. Additionally, the policy tasks and practical tasks to carry out the Cheonan City Library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2024-2028) consist of ten policy tasks and twenty-six execution tasks under the four major implementation strategies.
Keywords:
Cheonan City libraries, National Library Development Plan, Development Direction, Implementation Strategies, Policy Tasks키워드:
천안시 도서관, 국가도서관발전종합계획, 발전 방향, 추진전략, 정책과제1. 서 론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글로벌 이슈는 사회적 행태와 기대치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여가 및 문화 생활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도서관의 역할과 서비스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도서관은 지역사회 내에서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공동체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안시는 “시민과 함께 다시 뛰는 천안”이라는 슬로건 아래 고품격 문화도시, 활기찬 경제도시, 편리한 교통도시, 친환경 그린도시, 행복한 복지도시 등 5개 시정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잠재되었던 여가·문화생활 향유 및 쾌적한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간 격차 완화 및 도시 인프라 개선에 대한 지속적 요구와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신성장 동력 거점 확보 필요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활동 둔화에 따른 다양한 복지 수요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난 발생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23년도 천안시는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차별화된 문화 콘텐츠 발굴 및 일상 속 녹색 여가 문화공간 조성, 대중교통체계 혁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첨단산업기반 조성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 취약 대상별 맞춤형 지원 정책 추진, 예측 가능한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시민 안심 도시 조성을 시정 운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특히 천안시 시정목표 중 고품격 문화도시와 행복한 복지도시는 도서관 본부와 관련성이 높은 목표라 할 수 있다. 천안시민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특화 K-콘텐츠 개발, 차별화된 관광자원 발굴 및 마케팅, 역사문화 공간 조성 등을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서관에서도 생활밀착형 복합문화서비스, 적극적 정보복지 실현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거점 기능 강화, 쌍용 아트-스페이스 조성 사업 등을 2023년에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24~28) 국가도서관발전종합계획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변화에 발맞춘 천안시 도서관의 미래 비전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직산도서관, 입장도서관, 불당도서관 개관(예정) 등 도서관 인프라 확충에 따른 천안시 도서관 기능 및 역할 재정립과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도서관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도서관 본부로의 개편에 따른 천안시 도서관 인력 운용과 조직 관리의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주민과 소통의 장으로서 도서관 역할 및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을 강화하고 시민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도서관의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연구가 최근에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물론 2024년 들어서는 도서관 예산의 급격한 삭감으로 도서관 운영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도서관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이유는 도서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의 운영 상황을 평가하고, 필요한 개선 사항을 파악하고, 기술의 발전, 사용자의 변화하는 요구 등 미래 도서관이 직면할 도전과 기회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함이며, 재정, 인력, 자료 등 도서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도서관 종합발전계획은 도서관이 현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지속 가능하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도서관 종합발전계획을 분석하거나 발전계획의 틀을 제시하거나 각 시도의 발전계획 사례를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07년 도서관법의 전면 개정으로 인해 대통령 소속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매 5년마다 ‘대학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2015년 대학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됨에 따라 동법 제8조(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수립)에 근거하여 교육부가 5년마다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대학도서관 발전계획과 관련하여, 최근 최예진, 김초해, 이지연(2013)은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국제 환경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협업’, ‘컬렉션 개발 및 구축’, ‘연구지원’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과 세부 계획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발전계획 내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가치의 구체적 명시, 문화적 다양성 및 형평성, 포용성 등의 핵심가치 인식, 대학도서관 내외부의 파트너십 및 협업의 중요성 인식, 경영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로서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용재, 전선구, 정진경(2023)은 국내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 현황과 수립에 관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발전계획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으며, 발전계획의 핵심 구성요소를 반영하는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수립 방안을 모색하였다. 장덕현(2019)은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이 실질적으로 어떤 효과를 거두었는지, 그리고 향후의 방향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도서관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각 대학에서 대학도서관이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별 도서관 발전계획의 편성과 관련된 논의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것이 대학도서관의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표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로는 곽승진 등(2023)이 충남도서관이 광역대표도서관으로서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를 개발하고, 도내 공공도서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제2차 충청남도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성과 분석, 충청남도 도내 도서관의 진단과 분석, 충청남도 정책환경 분석 및 도서관정책 환경 전망 분석을 실시했다. 최종적으로 충청남도 제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사명, 비전, 목표, 추진 전략 및 실행계획을 제안했다. 사명은 ‘충청남도 도민을 포용하고 미래 지식·문화 가치를 선도한다’로, 비전은 ‘미래의 지식·문화를 이끄는 포용의 공간’으로 제안했으며, 목표는 1)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2) 공동체를 포용하는 도서관 서비스, 3) 지식문화 가치를 실현하는 도서관 운영, 4) 미래를 선도하는 도서관 인프라, 5) 공동체 교류·협력 네트워크 강화로 설정되었다.
시립, 구립, 읍단위 발전계획도 수립되고 있으며, 강지혜, 배경재, 정다희(2023)는 서울시 노원구립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노원구의 특징과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다.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역 특성, 도서관의 시설 현황과 장서, 인력,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목적, 만족도, 장서 개발에 대한 의견, 기대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정책 방향 등을 조사하였다. SWOT 분석을 기반으로 노원구립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을 위한 미션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교육 강화, 더불어 읽는 독서문화, 지속 가능한 환경도서관, 노원구 문화 플랫폼이라는 노원구립도서관의 발전 과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틀로 발전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며,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인식조사 연구(노영희 외, 2020),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 혁신 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장인호 외, 2023),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곽동철, 윤정옥, 김용환, 2020) 등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연구도 수행되었는데(김동석, 노영희, 2018),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 보도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기별 동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를 통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통해 정제된 단어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빈도 분석 및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1·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이 시행되는 동안 도서관 정책의 흐름이 외연적 성장에서 도서관 운영의 내실화·고도화의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시설 확충과 같은 특정 정책에 국한되어 언론 보도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으로 대변되는 도서관 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도서관 종합발전계획의 중요성과 실행 가능성을 강조한다. 도서관이 기술 발전과 사용자 요구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계획이 필수적이다. 또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내외 사례 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동향 파악은 도서관 발전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결국, 이러한 연구들은 도서관의 미래 지향적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3. 연구방법
1) 연구절차
본 연구의 목적은 천안시 거점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중장기 정책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거쳤으며, 각 단계별 세부 연구내용은 <그림 1>과 같다.
2)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는 크게 세 가지 파트로 구분된다. 첫째, 천안시 대내외적 여건 및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진단하였다. 천안시 일반현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향후 예측되는 지역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과 전망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천안시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인력, 예산, 자료, 서비스, 이용) 분석과 문헌연구 및 국내·외 공공도서관 관련 법규, 운영사례 조사 분석이다.
둘째, 천안시 도서관 발전에 대한 등 의견조사 및 요구를 분석했다. 설문목적은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 수립을 위해 천안시민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현황,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며, 설문대상은 천안시 지역주민이고, 설문은 약 한달간(2023.09.06.~2023.09.30.) 온라인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회수 및 분석건 수는 총 1,330부이다. 설문문항 및 구조는 다음 <표 1>과 같고, 설문문항은 지자체 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참조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1) 일반사항, 2) 도서관 이용 현황, 3) 장서, 4) 서비스 및 프로그램, 5) 시설 및 공간, 6) 특성화 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셋째, 천안시 도서관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운영전략을 제시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8가지 관점에서 검토하였으며, 지역 균형 발전 관점에서 천안시 중장기 도서관 확충 방안,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적정 조직 및 인력 확보방안, 도서관별 독서문화 프로그램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제시, 천안시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방향 제시, 천안시 도서관별 특성화 검토 및 전략 방안 제시, 지역자원 협력망 구축 및 연계 서비스 운영 방안,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 및 발전 전략 제시, 그리고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정책과제 및 대응 전략 제시이다.
4. 현황 조사 결과
1) 천안시 대내외적 여건 및 환경변화 분석진단
고품격 문화도시, 활기찬 경제도시, 편리한 교통도시, 친환경 그린도시, 행복한 복지도시 등 5개의 시정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잠재되었던 여가 및 문화생활 향유와 쾌적한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간 격차 완화 및 도시 인프라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와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신성장 동력 거점 확보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저출산 및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활동 둔화에 따른 다양한 복지 수요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난 발생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23년도 천안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차별화된 문화 콘텐츠 발굴 및 일상 속 녹색 여가 문화공간 조성, 대중교통체계 혁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첨단산업기반 조성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 취약 대상별 맞춤형 지원 정책 추진, 예측 가능한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시민 안심 도시 조성을 시정 운영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천안시의 시정목표 중 고품격 문화도시와 행복한 복지도시는 도서관 본부와 특히 관련성이 높은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필요가 있다:
첫째, 천안시민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특화 K-콘텐츠 개발, 차별화된 관광자원 발굴 및 마케팅, 역사문화 공간 조성 등을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특화 K-콘텐츠 개발은 천안시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특화된 콘텐츠를 개발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고 주민들의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차별화된 관광자원 발굴 및 마케팅은 도서관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천안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도 도서관을 홍보하고 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 역사문화 공간 조성은 도서관 내에 역사문화 전시 공간을 마련하여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도서관에서는 생활밀착형 복합문화서비스, 적극적 정보복지 실현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거점 기능 강화, 쌍용 아트-스페이스 조성 사업 등을 2023년에 추진 중이다. 생활밀착형 복합문화서비스는 지역 주민들이 도서관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웃리치 서비스는 도서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거점 기능 강화는 도서관을 지역공동체의 중심으로 만들어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고, 주민 간 소통을 촉진한다. 쌍용 아트-스페이스 조성 사업은 예술과 문화를 접목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문화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천안시의 도시 브랜드와 연계한 도서관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빵의 도시 천안 인프라 확충에 발맞춰 독서 미식회 ‘책과 함께 빵긋’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천안의 도시 브랜드인 ‘빵의 도시’를 활용하여 책과 빵을 결합한 독서 모임 및 행사 등을 기획함으로써 도서관의 매력을 높이고, 더 많은 시민들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천안시 도서관의 발전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의 1관당 서비스 대상 인구 수는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천안시의 1관당 서비스 대상 인구 수는 54천 명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국 1관당 사서 수는 2018년 대비 2022년에 0.3명 증가하였으나 천안시의 1관당 사서 수는 2018년 대비 2022년에 0.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사서 1인당 서비스 대상 인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천안시의 사서 1인당 서비스 대상 인구는 반대로 증가하고 있다. 전국 도서관 1관당 장서 수는 2019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천안시 도서관의 1관당 장서 수는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22년에 감소하였다. 그러나 천안시의 1인당 장서 수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도서관의 1인당 장서 수 증가세와 동일하다.
천안시의 1관당 방문자 수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으로 인해 급감하였으나 2022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2022년 방문자 수가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것은 천안 중앙도서관의 리모델링 공사로 인한 휴관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천안시의 1관당 대출 도서 수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으로 급감하였으나 2022년에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고품격 문화도시와 행복한 복지도시 시정 목표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과 연계하여 도서관이 문화생활 향상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천안시 도서관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천안시의 시정 현황 및 천안시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천안시의 향후 종합발전계획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핵심인프라 구축이다. 공공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부분에서는 중앙도서관 대규모 리모델링과 직산도서관 개관 예정 등으로 인구 대비 도서관이 부족한 상황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입장도서관, 불당도서관 등 신규도서관 건립이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 맞춤형 장서 확충이다. 천안시 자료 선정 기준에 의하면 이용자 요구 도서를 우선적으로 수집하고 대출 현황을 토대로 이용이 많은 분야 도서를 확충하고 있다. 향후 이용 통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현재의 자료 선정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식별하여 효율적인 장서 확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 독서문화 서비스 확대이다. 이용자들이 디지털콘텐츠와 구독형 전자책 서비스를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선 및 콘텐츠 확대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서관 자료 접근성 및 편의성 향상이다. U-도서관이 현재 두 곳에서 운영 중인데 장기적으로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정기구독 서비스를 전 도서관에 확대 적용하여 맞춤형 독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 운영체계이다. 도서관 통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 사서직 공무원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개발 등으로 인해 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독서의 생활화이다. 천안시 도서관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인문학적 독서문화조성, 시민독서운동 전개 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홍보 활동, 교육 후기 공유, 사례집 배포 등을 통해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협력체계이다. 천안시 도서관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독서활동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타관종 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이용자 서비스를 다변화하고 있다. 향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도서관 서비스체계의 획기적 변화가 요구되며 지역서점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독서문화 활동을 확산시키는 기획이 필요하다.
여덟째, 작은도서관 활성화이다. 천안시는 행정구역의 수에 비해 공공도서관의 수가 많지 않고 면적이 넓은 지역이 많아 작은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나 작은도서관 보조금 및 장서확충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이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작은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지역내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과의 연계 확대를 통해 천안시민의 과학활동 지원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기억의 보존, 공유, 확산이다. 2023년 스토리 인 천안 사업 추진 계획이 설정되어 있으나 현재까지의 성과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천안시의 과거와 현재를 보존하고 미래시대에서 공유·활용할 수 있는 사업 계획 수립과 추진이 요구된다.
2) 2020/2025 도서관 장기종합발전계획 추진실적 분석
한편, 본 연구에서는 2020년에 수립되어 추진되어 온 기존의 도서관 장기 종합발전계획의 추진 실적을 분석했다. 현재의 상황을 정확히 진단해야 다음 단계의 계획이 보다 발전적으로 수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항목별로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부분에서는 중앙도서관 대규모 리모델링과 직산도서관 개관 예정 등으로 인구 대비 도서관이 부족한 상황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입장도서관, 불당도서관 등 신규 도서관 건립이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천안시 자료 선정 기준에 의하면 이용자 요구 도서를 우선적으로 수집하고 대출 현황을 토대로 이용이 많은 분야 도서를 확충하고 있다. 향후 이용 통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현재의 자료 선정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식별하여 효율적인 장서 확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이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와 구독형 전자책 서비스를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선 및 콘텐츠 확대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U-도서관이 현재 두 곳에서 운영 중인데, 장기적으로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정기구독 서비스를 전 도서관에 확대 적용하여 맞춤형 독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 통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 사서직 공무원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개발 등으로 인해 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천안시 도서관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인문학적 독서문화 조성, 시민 독서운동 전개 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홍보 활동, 교육 후기 공유, 사례집 배포 등을 통해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천안시 도서관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독서활동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타관종 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이용자 서비스를 다변화하고 있다. 향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도서관 서비스 체계의 획기적 변화가 요구되며, 지역 서점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독서문화 활동을 확산시키는 기획이 필요하다.
여덟째, 천안시는 행정구역의 수에 비해 공공도서관의 수가 많지 않고, 면적이 넓은 지역이 많아 작은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작은도서관 보조금 및 장서 확충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작은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아홉째, 지역 내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과의 연계 확대를 통해 천안시민의 과학 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공동체 기억의 보존, 공유, 확산 역할을 해야 한다. 2023년 ‘스토리 인 천안’ 사업 추진 계획이 설정되어 있으나 현재까지의 성과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천안시의 과거와 현재를 보존하고 미래 시대에서 공유·활용할 수 있는 사업 계획 수립과 추진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천안시 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천안시민 의견 조사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천안시민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현황,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일단 천안시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환경 및 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3.92, 전반적인 도서관 만족도는 3.81로 나타났으며, 세부 영역별로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3.79,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3.49로 나타났다(<표 2> 참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은 크게 1) 장서, 2) 서비스, 3) 프로그램, 4) 특성화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자료, 전자자료, 최신 자료 신속성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타 문항에 비해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선호하는 정보원 유형 조사에서 인쇄자료에 대한 선호도가 4.03으로 다른 유형이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 자료, 웹자료 등의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선호하는 장서 주제조사에서 문학(3.95), 역사(3.77), 예술(3.68)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는 2.70으로 선호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장서 관련 기타의견으로 장서와 관련해서 공통적으로 다양한 장서 구입 및 신간도서 구입 확대에 대한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와 함께 전자책 수 확대 및 전자책 이용 편리성 개선, 오래된 장서 교체 필요 등의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천안시 도서관은 향후 이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장서를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표 3> 참조).
즉,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천안시 도서관의 장서 관련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장서 확충 방안 모색이다. 여러 설문조사 문항에서 장서 수 확대에 대한 의견이 다수 나타나, 점진적으로 장서를 확충하기 위한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용자 선호도 기반 장서 계획 수립이다. 향후 천안시 도서관은 장서 확충 시, 장서 유형은 인쇄자료, 모바일 자료 등을 우선으로, 주제의 경우, 문학, 역사, 예술 등 이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장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③ 셋째, 디지털 자료 확충이다. 모바일 자료 및 웹 자료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이와 함께 전자책에 대한 수요 및 요구도가 높아, 향후 지속적으로 디지털 자료를 확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와 관련하여 전체 만족도는 3.79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자료 검색의 편리성, 이용 규정의 적절성, 이용절차 간편성 등이 높게 나타났다. 바라는 서비스에 대한 의견에 대해 모든 문항이 4.0으로 높은 수요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다양한 분야의 좋은 책과 지식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4.5), 독서활동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도서관(4.29), 어디서든 손쉽게 자료를 탐색하고 이용을 돕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4.27)에 대한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세부 정보서비스별 수요도에 대해서는 상호대차서비스와 도서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협력형서비스 수요도 조사에서는 책두레서비스, 책바다서비스, 책이음서비스 등의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 작은도서관의 상호대차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표 4> 참조).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천안시 도서관의 서비스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서비스 확대 및 개발이다. 각 도서관이 해당 지역의 거점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장서 및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의 특징을 고려하려 각 도서관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체계적인 협력형 서비스 강화이다. 천안시 도서관 이용자들은 협력형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가 높게 나타나,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상호대차서비스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은도서관의 상호대차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여러 기타의견에서 다수 나타나, 향후 작은도서관에도 상호대차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홈페이지 및 모바일 서비스 강화이다. 모바일자료와 웹자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만큼 이러한 정보서비스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페이지 및 모바일 서비스가 개선 및 강화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관련 조사에서 전체 만족도는 3.49로 타 영역 대비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프로그램 홍보와 다른 기관과의 차별성에 대한 부분이 낮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문화프로그램조사에서 문화·예술프로그램(4.21)과 독서프로그램(4.15)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타의견으로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자 초청 강연, 북콘서트, 노인 관련 프로그램, 융합 프로그램(책+문화예술 등), 연령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 신기술 관련 교육 프로그램 등이 나타났다.
천안시 도서관 조성에 중요한 프로그램조사에서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과 관련한 의견으로는 1) 다양한 주제, 2) 프로그램 대상 다양화 (연령별 등), 3) 프로그램 시간, 4) 타 기관과의 연계 등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천안시 도서관의 프로그램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요구된다.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이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성인 및 노인 등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타 기관과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요구된다. 평생교육관, 문화센터, 주민센터 등 다른 기관과 차별화된 천안시 도서관만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시 다양한 운영 시간 고려이다. 프로그램 운영 시간 때문에 참여가 어렵다는 의견들이 나타나, 향후 프로그램 운영 시, 프로그램 대상(직장인 등)에 맞는 적합한 시간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프로그램 홍보 전략 수립이다. 프로그램과 관련해서 홍보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다수 나타나, 많은 시민들이 도서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홍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현재 천안시 도서관의 특성화 주제에 대한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신규 건립 예정 도서관의 주제 적합도 조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향후 신규도서관의 특성화 주제(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다만, 설문조사 기반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기타의견을 분석한 결과, 1) 특화도서관 운영 반대, 2) 특성화 주제 미인지, 3) 특화 주제 부적합, 4)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이해도 부족 등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일부 의견으로 도서관의 특성화가 왜 필요하지 모르겠다는 의견과 함께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있었고, 이용하는 도서관에 특화 주제가 있는지 몰랐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또한, 현재 도서관별로 제공하는 특화 주제가 각 도서관의 이용자 특성 및 지역적 환경을 고려한 주제와 맞지 않다는 의견도 일부 있었다(<표 6> 참조).
이에 향후 천안시 도서관의 특화서비스를 제공 방향은, 첫째, 도서관 특화에 대한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다. 특화서비스를 운영하기 앞서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이 장서 특성화 및 특화서비스 등을 진행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알리고, 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이용자의 요구도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주제 검토가 요구된다.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주제가 적합하다고 나타났지만 기타의견에서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어 도서관별로 특성화 주제에 대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각 도서관별 특화에 대한 홍보 추진이다. 의견 중에 도서관이 특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몰랐다는 의견도 나타나, 특화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별 홍보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 천안시 도서관 발전 및 운영전략
1) 지역 균형 발전 관점에서의 천안시 도서관의 확충
천안시는 수도권에 근접한 배후 도시로서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여건과 여러 대학에서 배출한 우수한 인력으로 인해 반도체, 전자산업 등의 첨단산업이 발달한 성장 잠재력이 큰 도시이다. 천안시의 전체 면적은 2021년 기준 636.1㎢이며 그중 광덕면이 80.38㎢(12.74%)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광덕면을 이어 목천읍 63.11㎢(10.00%), 북면 58.45㎢(9.26%) 순으로 넓다.
따라서 천안시는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을 통해 계획한 생활권 및 인구규모를 토대로 총 15개소의 공공도서관 수를 달성해야 한다.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의 도서관 조성기준 인구 30,000인당 1개소 조성을 기준으로 공공도서관의 수를 8개소에서 15개소까지 확충할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시민의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위한 편안하고 열린 복합문화공간 조성하고, 천안시 내 지식정보·문화·평생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천안시는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천안시에 총 15개소의 공공도서관 수를 달성하며 생활권별로는 중심생활권 9개소, 북부생활권 3개소, 동부생활권 2개소, 남부생활권 1개소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신규 건립으로 중심생활권은 2025~2030년 구간에 2개소 / 2030년~2035년 구간에 1개소, 북부생활권은 2022~2025년 구간에 2개소 / 2030-2035년 구간에 2개소, 동부생활권은 2025~2030년 구간에 1개소, 남부생활권은 2030년 이전에 1개소 신축을 목표로 해야 한다.
2)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적정 조직 및 인력 확보방안
천안시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본부(사업소) 하부에 3과 12개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도서관 8개관과 공립작은도서관 14개관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조직구성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2022)에서 제시한 팀별 역할 및 조직도, 한국도서관기준(2013)에 따른 시 단위의 조직 시스템, 유사규모 도서관의 조직체계를 고려한다(<그림 2> 참조).
먼저, 단기안으로 현 도서관 조직체계를 보완한 형태의 조직을 구성한다. 천안시 도서관의 일원화된 정책 및 운영을 위해 과 승격을 기반으로 도서관 지위 및 역할의 체계적인 도서관 관계망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조직체계를 바로 변경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우선 현 조직체계를 보완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체계적이고 명확한 팀별 업무 구분을 위해 중앙도서관(과)과 쌍용도서관(과) 하부의 ‘사서팀’을 ‘도서관지원팀’, ‘도서관운영팀’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천안시 도서관 업무수행의 권한과 독립성을 개별적으로 부과하여 책임을 명확히 하고 업무의 효율화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중기안으로 4과 21팀 형태의 조직 구성을 제안한다.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2022)에 따라, 천안시 각 도서관이 지위별 기능 및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서관 추가 건립·개관 이후에 팀 재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할 중기안의 조직체계는 입장도서관, 직산도서관이 건립된 이후의 천안시의 역할 및 기능별 책임서비스를 담당할 4과 21개팀 형태의 행정조직 체계이다.
각 과는 천안시 도서관의 전반적인 운영지원·관리를 담당하는 ‘도서관정책과’, 각 생활권을 관할하는 ‘중앙도서관(과)’, ‘쌍용도서관(과)’, ‘두정도서관(과)’으로 구분한다. 이때 생활권역은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생활권과 달리 천안시 도서관의 균형있는 분포를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각 권역별 본부는 각각 중앙도서관, 쌍용도서관, 두정도서관으로 제안한다. 이 중 중앙도서관은 천안시의 지역중앙관이자 거점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도서관정책과에는 천안시 도서관의 전반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관리팀과 천안시 도서관의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수립·추진하는 도서관정책팀, 공·사립작은도서관의 지원·연수 및 관리 감독을 총괄하는 작은도서관팀, 청사 관리를 전담하는 시설관리팀을 둔다. 이 외에도 독서문화진흥을 중심으로 하는 독서문화팀을 신설함으로써 독서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업무를 전담한다. 중앙도서관, 쌍용도서관, 두정도서관의 경우 각 권역별 분관 운영을 담당하는 도서관팀을 두는 것이 적정하다(<그림 3> 참조).
한편, 천안시 도서관의 인력 구성 및 인력산출을 정리하면 <표 7>과 같다.
종합하면, 천안시 도서관은 유사규모 도서관의 평균에 수렴하되, 도서관법 시행령, 한국도서관기준을 기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국·공립 공공도서관의 등록제 의무화에 따라 최소 사서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위 기준에서 규정한 공공도서관 적정인력이 상이함에 따라 최소 사서직 인력(비정규직 포함) 163명을 기준으로 지역중앙관, 거점도서관, 분관의 역할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사서인 기타 인력은 사서직의 1/3 수준으로 현 인력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무직 및 비정규직은 전체 정규직 공무원 인원과 유사하게 배치하되, 업무추진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정규직보다는 적게 배치하여야 한다(<표 8> 참조).
천안시 도서관 인력 확충의 단계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인력확충계획은 현재 운영 중인 천안시 도서관 8개관을 대상으로 제안하는 것이며, 향후 직산도서관, 입장도서관 건립시에 별도의 인력이 확충되어야 하며, 이들 인력산출은 도서관의 규모와 봉사대상인구수 등을 근거로 하여 합리적으로 산출되어야 한다(<표 9> 참조).
3) 도서관별 독서문화 프로그램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현재 천안시는 영유아 및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이 다수이다. 따라서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성거도서관, 도솔도서관,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군에 맞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더 많은 다양한 독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어교실 같은 일반 교육프로그램은 호서대학교와 협력을 통해 운영하고 있지만 도서를 기반으로 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은 지역사회와 연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을 강화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지역 작가나 연사를 초청하여 지역 공동체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지역문화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천안시를 바탕으로 한 글쓰기 프로그램, 인문학 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통해 천안시민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이용자에게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에 물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청년 및 장애인 등과 같은 대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알맞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영유아 및 아동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에서 벗어나 도서관 운영시간을 조정하여 대학생, 직장인, 청년층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하여 사회적 참여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한편, 다른 이용자층과 비교해보았을 때, 정보취약계층인 다문화 이용자 및 농어촌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황이다. 다문화 이용자에게 도서기반의 한국어 교육, 문화 교육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안정적인 한국사회 정착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농어촌 주민을 대상으로 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타 기관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정보소외 계층을 지원하고 사회통합을 촉진할 수 있다.
천안시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및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급증하는 노인층의 건강한 여가생활과 사회참여를 위해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해야 하며, 다른 지역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중장년층의 독서문화프로그램 경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힐링, 가족, 자아 등을 주제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독서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담 직원 배치(중앙도서관, 쌍용도서관)가 필요하다. 전담 직원 배치를 통해 차별화된 기획과 실행 지원, 아카이빙 등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독서에서 쓰기로 확장하는 방향성 정립도 필요하다.
4) 천안시 도서관 장서관리정책 방향
장서관리정책은 개별 공공도서관에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장서관리의 방향과 업무수행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정책 지침서에는 이용자 요구조사, 장서의 선정 기준, 장서선택 도구, 장서예산편성원칙, 장서의 평가, 보존·이관·교환, 제적 및 폐기에 관한 사항이 명시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장서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성문화하여 자료수집에서 보존 관리까지의 체계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일정 주기로 장서관리정책을 개정하여야 한다. 천안시 공공도서관은 장서관리정책 지침서를 반드시 작성하여 자료수집 및 관리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민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주민을 위한 도서관으로서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며, 최신 지식정보를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속간행물의 수집 비중을 높이고, 접근 및 이용서비스를 강화하여야 한다.
지역자료, 행정자료의 수집과 보존을 위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식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지역에서 발간 또는 제작되는 지역자료 및 행정자료를 반드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자료와 지식문화유산의 발굴, 복원, 계승,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자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정보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천안시 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정책 방향은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정책 방향을 참고하여 제시할 수 있다. 천안시 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정책은 <그림 4>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보존자료관의 유형은 지역거점형, 협력형, 조합형의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조).
천안시 소재 8개 공공도서관 중 6개 공공도서관(중앙도서관, 쌍용도서관, 성거도서관, 아우내도서관, 도솔도서관, 두정도서관)은 도서관의 연면적에 비하여 장서의 소장권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며, 도서관들의 장서 포화도가 심각한 것은 도서관의 열람 환경을 악화시키고 장서의 최신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천안시 도서관은 장서의 포화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공동보존자료관을 운영해야 하며, 지역 공공도서관들의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이 자료의 공동보존 및 이용을 주도하는 지역거점형과 참여 도서관들이 함께 자료를 보존하고 공유하는 형태로 소장자료의 이용 권한을 공유하며 장서관리정책에 합의하여 운영하는 협력형의 결합인 지역거점·협력형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지역거점·협력형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은 참여도서관의 협력이 필수적인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에 있어서 협력형의 장점을 수용할 수 있으며 공동보존자료관 구축 및 운영 과정에서 소요되는 인력, 예산, 시설 및 장비, 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참여 도서관들의 공동부담이 사실상 어려우므로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구축과 운영이 주도되는 지역거점형의 장점이 더해지는 유형이다.
천안시 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은 지역거점·협력형 운영모델을 통해 공동보존자료관의 건립목적에 적합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고 천안시 공공도서관의 장서포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5) 천안시 도서관별 특성화 검토 및 전략 방안
천안시 공공도서관은 특화 장서 수집,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했을 때, 보통 수준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어 특화를 잘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제를 변경하기보다는 현재 주제와 관련해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예산, 장서, 인력 지원 등 특화 지원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다만 아우내, 성거, 도솔 도서관은 특화 운영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특화 주제를 변경하거나 기존 도서관과 신규 건립 도서관의 운영 상황 및 지역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특화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신중한 정책적 검토가 필요하다.
지자체와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이 상생하면서 필요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협력과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신규 건립되는 도서관의 특화 주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특화 주제와 서비스를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 TF팀 운영 등도 고려할 수 있다.
특화도서관이 지속성을 갖고 꾸준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산 확보를 통해 특화 장서 확충, 전담 인력 확보, 특화 장서와 연계된 다양하고 흥미로운 특화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이 필요하다. 특히 전담 인력 확보를 통한 활성화를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 시민 설문조사 결과 천안시 공공도서관의 특화도서관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서관 홈페이지와 도서관 내 홍보 등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천안시 특화도서관 네트워크를 구성해 온·오프라인으로 홍보하는 것도 필요하며, 도서관 내 공간뿐만 아니라 지역 내 타 문화기반시설 등을 활용한 홍보 활동도 필요하다.
시민들의 의견을 상시적으로 접수할 수 있는 창구 마련도 필요하다. 특화도서관을 통한 천안시 도서관의 브랜딩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특화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천안시 소재 대학교, 기업, 기관들과 협력하여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이제는 주제가 아니라 도서관 급별 특화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병원 체계처럼 작은도서관 및 읍면 소재 도서관은 기본적인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집중하고, 중급 도서관은 전체 주제를 모두 서비스하며, 중앙도서관과 쌍용도서관은 대학도서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시도하고, 자료는 상호대차를 통해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장기적으로는 천안시 소재 모든 도서관의 특화도서관과 서비스를 추진하기보다는 집중과 선택을 통한 서비스 체계도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특화도서관 운영이 안정화되면 지역에서 1개관 정도를 공립 전문도서관으로 지정해 지역의 브랜드로 성장시키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용자들이 좋은 환경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받으면 만족도가 높아지듯이, 특화도서관에 관심이 있는 이용자들도 도서관의 기본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면 유용성과 만족감을 느끼기 어렵다. 특화도서관 정책이 계속 추진되는 만큼 도서관의 가치와 책무를 고려한 정체성 확립과 함께 기본 구성을 탄탄히 하여 지속성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단계별 세부 실행계획을 심도 있게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심효정, 노영희, 2022).
6) 지역자원 협력망 구축 및 연계 서비스 운영 방안
천안시청 조직과 시민 대상 주요 서비스 분류 연계 지역사회 조직으로 천안시청의 시민 대상 주요 서비스 분류와 연계된 조직, 지역사회 조직을 분석했으며, 도서관 서비스의 외연확장과 지역사회 상생, 지역 공동체 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역자원 협력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그림 5> 참조).
7) 천안시 작은도서관 발전 전략
천안시 작은도서관 관점에서, 사서자격증 보유 직원, 자원봉사자 확대를 통한 운영의 질적 수준 확보가 요구된다. 사서자격증을 보유한 직원과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여 전문성 있는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내실을 기해야 한다.
특화 작은도서관 공간 및 서비스 운영으로 방문 수요 확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악기, 미술작품, 장난감, 전자기기 대출 등 생활에 밀착된 매체를 대출하고, 여행 전문 작은도서관, 문학 전문 작은도서관 등 특화된 주제 전문화를 통해 매력적 공간으로 작은도서관을 운영하여 방문 수요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8)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정책과제 및 대응 전략
도서관은 다양한 지식정보 및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 개개인의 역량을 지원하고 독서공동체 문화를 확산시켜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복합커뮤니티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천안시 도서관은 평생교육의 장이자 복합커뮤니티공간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사회와 시민의 다양한 지적·문화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도서관을 지향해야 한다.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및 교육 등을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변화하는 미래를 대비하는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앞서 도출한 ‘시민의 삶을 바꾸는 도서관, 미래를 함께 동행하는 도서관’이라는 비전을 기반으로 목표를 도출하면 <표 11>과 같다.
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추진전략을 ①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 ②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③ 미래를 준비하는 전문성 강화, ④ 경계를 넘는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표 12> 참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과제 및 실행과제는 4대 추진전략 아래 10개 정책과제, 26개 실행과제로 구성되어 있다(<표 13> 참조).
6.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제4차 국가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따른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을 신규로 수립하고자 하였으며, 천안시 도서관의 미래 비전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안시 환경 진단 및 분석, 시민, 전문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정책 과제 및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서관 본부로의 개편에 따른 천안시 도서관 인력 운용과 조직 관리의 적정성 분석과 주민과 소통의 장으로서 도서관 역할 및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을 강화하고 시민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도서관 정책 과제 및 대응 전략 마련이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도서관 발전 및 운영 전략을 제안했다.
첫째, 천안시는 증가하는 인구 수를 반영하여 도서관을 신규로 건립해야 하며, 시민의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위한 편안하고 열린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고, 천안시 내 지식정보·문화·평생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4과 21팀 형태의 조직 구성을 제안한다.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2022)에 따라 천안시 각 도서관이 지위별 기능 및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서관 추가 건립·개관 이후에 팀 재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최소 사서직 인력(비정규직 포함) 163명을 기준으로 지역중앙관, 거점도서관, 분관의 역할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천안시는 대상별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특히, 급증하는 노인층의 건강한 여가생활과 사회참여를 위해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해야 한다. 다른 지역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지역 자료와 행정자료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식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지역에서 발간 또는 제작되는 지역 자료 및 행정자료를 반드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자료와 지식문화유산의 발굴, 복원, 계승,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천안시 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은 지역거점·협력형 운영모델을 통해 공동보존자료관의 건립 목적에 적합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천안시 공공도서관의 장서포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섯째, 천안시 공공도서관은 특화 장서 수집,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했을 때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어 특화를 잘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주제 변경보다는 현 주제와 관련해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예산, 장서, 인력 지원 등 특화 지원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천안시청 조직과 시민 대상 주요 서비스 분류 연계 지역사회 조직으로 천안시청의 시민 대상 주요 서비스 분류와 연계된 조직, 지역사회 조직을 분석했으며, 도서관 서비스의 외연 확장과 지역사회 상생, 지역 공동체 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 자원 협력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천안시 작은도서관 관점에서, 사서 자격증 보유 직원 및 자원봉사자 확대를 통한 운영의 질적 수준 확보가 요구된다. 사서 자격증을 보유한 직원과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여 전문성 있는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내실을 기해야 한다.
이러한 제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도서관의 비전과 목표를 제안했으며, 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추진 전략을 ①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 ②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③ 미래를 준비하는 전문성 강화, ④ 경계를 넘는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 과제 및 실행 과제는 4대 추진 전략 아래 10개 정책 과제, 26개 실행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충청남도 대표도서관인 충남도서관에서는 충청남도 제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 추진과 더불어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근무자의 권익 보호 및 지위 향상을 위해 충청남도 사서 등의 권익 보호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공공도서관 사서, 문헌정보학 교수 등 도서관 관계자와 관련 분야(노동·법률 등) 전문가로 조례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3년 ‘천안시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24~2028) 수립 연구 용역’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은영 (2018). 해외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49(3), 193-217.
- 강은영ㆍ장덕현 (2017). 공공도서관을 위한 지역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48(3), 207-232.
- 강은영ㆍ장덕현 (2018).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ㆍ운영 모형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49(2), 105-129.
- 강지혜ㆍ배경재ㆍ정다희 (2023). 서울지역 구립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4(1), 5-26.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2020.04.16.) 경기도 메모리 [On-line], Available: memory.library.kr
- 고양시 (2015). <고양시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고양: 고양시.
- 고양시 (2019). <고양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2020-2023)>. 고양: 고양시.
- 공공도서관협의회 (2020). <도서관을 온택트하다(코로나19 공공도서관 운영사례집)>. 서울: 공공도서관협의회.
- 곽동철ㆍ윤정옥ㆍ김용환 (2020).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ㆍ장기 발전계획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4(3), 21-39.
- 곽승진 외 (2023). 충남대표도서관의 운영성과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7(4), 49-74.
- 구성도서관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lib.yongin.go.kr/guseong/index.do
- 국가도서관통계 (2023.07.17.) [On-line], Available: libsta.go.kr
- 김동석ㆍ노영희 (2018).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2), 85-108.
- 김포시(한국도서관협회) (2019).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포: 김포시.
- 노영희ㆍ장인호ㆍ강지혜ㆍ김동석 (2021). 인천광역시 동구 특화도서관 운영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8(2), 39-63.
- 노영희ㆍ장인호ㆍ강지혜ㆍ신영지ㆍ곽우정 (2020).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51(1), 227-253.
- 도봉구통합도서관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www.unilib.dobong.kr/main.do
- 문화체육관광부 (2018).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2018). <제3차 독서문화진흥계획(2019-2023)>.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부천시립도서관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www.bcl.go.kr/site/main/index019
- 심효정ㆍ노영희 (2022). 특화도서관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53(3), 47-72.
- 이용재ㆍ전선구ㆍ정진경 (2023).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현황과 수립에 관한 사서의 인식 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4(4), 331-350.
- 인천광역시교육청주안도서관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lib.ice.go.kr/juan/index.do
- 장덕현 (2019). 국내 대학교 도서관발전계획의 효용성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4), 213-230.
- 장인호ㆍ노영희ㆍ강지혜ㆍ곽우정 (2023).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혁신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54(3), 295-320.
- 지방자치단체 재무회계 운영규정[행정안전부 훈령 제1호, 2017.7.26.일괄개정] [On-line], Available: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6&nttId=59116
- 천안시 (2016). <2025 천안시도서관 장기종합발전계획>. 천안: 천안시.
- 천안시도서관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www.cheonan.go.kr/lib.do
- 천안시청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s://www.cheonan.go.kr/
- 최예진ㆍ김초해ㆍ이지연 (2023).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40(3), 163-196.
- 충남도서관(글로벌알앤씨) (2022). <충남도민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 실태조사 연구>. 충청남도: 충청남도.
- 화성신문 (2023.10.10.) [On-line], Available: http://www.ihsnews.com/48141